
QuickSCAT
- 지상 800 km 상공에서 극점을 지나는 궤도를 하루 약 14바퀴를 돈다. - 'SeaWinds' 라 하는 특수 레이더를 장착해, 대양 표면에서의 바람의 방향과 속도를 측정한다. - 1999 년 운전 시작돼 2009 년 레이더 회전장치에 고장 발생 때 까지 운용됐다. - 이후 또 다른 'SeaWinds' 일본 위성에 탑재돼 임무 수행 중이다.
QuickSCAT
Hurricane Dora in the eastern tropical Pacific Ocean on August 10, 1999
색깔은 바람의 세기, 화살표는 방향을 표시 한다.
대양의 바람의 방향과 속도에 대한 꾸준한 자료는 엘니뇨(El Niño-Southern Oscillation, ENSO), 라니나(La Niña) 같은 장기적 기후 변화를 예측할 수있게 해 준다.
정상의 경우 무역풍이 서쪽으로 불면서 따뜻한 표면 해수가 서쪽으로 이동하고, 차거운 심해수가 동쪽으로 이동하며 대류가 일어난다.

엘니뇨 현상이 일어나면 위의 정상적 대류가 부진하게 돼 태평양의 아메리카 대륙 연안의 해수 온도가 올라가 여러가지 이상 기온이 나타나게 된다.
위 그림의 하얀 부분이 평균보다 해수 기온이 높은 부분
라니나는 엘니뇨의 반대로 태평양의 아메리카 대륙 연안의 해수 온도가 너무 내려가는 현상
위 그림의 하얀 부분이 평균보다 해수 기온이 낮은 부분
최근의 엘니뇨는 1988-1989, 1991-1992, 1993, 1994, 1997-1998, 2002-2003- 2010년 여름에 발생하였다. 상대적으로 약한 엘니뇨가 2004년 9월에 시작하여 2005년 봄에 끝이 났다. 2005년 중반 이후부터는 약한 라니냐 상태가 지속되고 있으며, 이는 라니냐 에피소드로 분류되었다. 1997-1998년의 엘니뇨는 특히 강해서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또한 1990-1994년 사이의 엘니뇨는 유례가 없을 정도로 높은 빈도로 일어났다.
엘니뇨가 발생할 때에는 해류가 따뜻해져서 증발량이 많아지며, 이로 인해 태평양 동부 쪽에는 강수량이 증가한다.
엘니뇨는 북아메리카에 비해 남아메리카에 보다 강하게 영향을 미친다. 엘니뇨는 따뜻하고 매우 습한 여름(12월-2월)에 남아메리카 북쪽의 페루나 에콰도르와 같은 해안선을 따라 찾아오게 되며, 엘니뇨가 강할 경우 대규모의 홍수가 발생하게 된다. 2월-4월 동안의 피해 역시 심각하다. 남부 브라질 및 북부 아르헨티나에는 봄이나 초여름 동안 평상시에 비해 습한 기후를 겪게 된다. 중부 칠레는 다량의 비가 내리는 온난한 겨울이 찾아오게 되고, 페루-볼리비아의 고원지대(Altiplano)는 때로는 비정상적인 강설현상도 겪는다. 아마존 강 유역, 콜롬비아, 중앙아메리카에는 평상시보다 건조하고 온도가 높아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엘니뇨로 인해 보다 건조한 상태가 되는 인도네시아, 필리핀, 북부 오스트레일리아 등지에는 산불 빈도가 증가한다. 퀸즐랜드 주, 빅토리아 주, 뉴사우스웨일스 주, 태즈메이니아 주 등지에서도 역시 6월-8월 사이에 평상보다 건조한 상황을 겪는다.
관련기사
[이 게시물은 관리자에 의해 2012-03-27 20:21:32 문예·과학에서 복사 됨]
[이 게시물은 관리자에 의해 2012-05-02 05:26:22 월간박봉팔닷컴에서 복사 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