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공화당과 민주당
- 링컨이 가난한 집안 출신으로 대통령까지 되어, 흑인노예해방을 하였고,
'노무현이 링컨을 존경한다' 고 하였으니, 대한민국 네티즌들조차 링컨을
미국의 민주당으로 오해한다. 그러나 ; 링컨은 공화당이다.
미국국민을 대상으로 '가장 존경하는 대통령' 설문조사 하면 부동의 1위는 링컨이다. 2위 - 케네디 또는 루즈벨트
-짧은 미국 역사에서 백년 이상, 보수는 민주당이었고 진보는 공화당이었다. 미국 민주당은 남부 노예노동을 기반으로 한 농업과, 지주들을 정치세략화한 정당이다.
-대한민국에 비유하면, 부동산(=농지)소유로 세입자나 영세자영업자들에게서 받는(착취?) 임대료(=불로소득)에 목숨걸고 집착하는 부동산세력에 기반한 정당이었다.
식민지
- 일제 36년을 한반도 역사에서 유일한 식민지 역사로 착각하고 있다.
- 거슬러 올라가면, 한사군 도 한나라의 식민지 시절로 볼 수 있고,
고려말, 원나라(징기스칸)에게 완벽하게 정복당한 후, 충렬왕(1274~)부터 충정왕( ~1351)까지 77년은 원나라의 식민지이었다. (공민왕부터 독립의 노력을 시작하여 고려말 우왕까지 41년을 식민지에서 제외할지 포함할지는 별개로 하더라도...)
왕 이름 앞에 충성할 '충 忠' - 원나라 황제에게 충성하겠다 는 뜻으로 왕호를 칭호한 것만큼 식민지라는 명백한 증거가 있을까?
중국과 북한에 대한 오해
-외교에서 국익, 국가 최우선, 이라는 것은 상식이다.
; 그러나 중국과 북한은 국가보다 '군(軍)'이 우선하고
군 보다 '당 黨=공산당' 이 우선이다.
- 일당독재를 미국의 공화당이나 한국의 새누리당같은 정당이 독재한다 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중국 정치체제를 이해하려면, "당이 국가보다 우선한다" 는 문장을 이해해야 한다.
불편한 진실-2차세계대전 종전에서 한국은 패전국 일본의 식민지이었다.
소위, 좀 배웠다는 식자층이나 언론, 네티즌 할 것 없이 한-미-일 삼국 외교를 언급하는 내용을 보면 마치 대한민국이 승전국이거나, 최소한 승전국의 식민지인 것처럼 말하고 행동한다. 36년동안 목숨걸고 독립투쟁한 독립투사 님들의 숭고한 정신은 계승되고 존중되어야 한다. 그러나, 역사와 현실이 마음만으로 되는 것은 아니다. 승전국 미국 중국 소련이 대한민국을 바라보는 관점이 패전국 일본의 식민지라는 사실은 아프지만, 불편하지만 받아들여야만 하는 현실이다.
한-미, 와 미-일, 외교의 본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인용
애치슨 라인 선언(Acheson line declaration, 애치슨 선언)은 1950년 1월 12일에 발표된, 미국의 국무장관이었던 딘 애치슨에 의해 발표된 선언이다. 여기서 애치슨 라인(Acheson line)은 그 선언에서 발표된 미국의 동북아시아에 대한 극동방위선을 의미한다. 1950년 1월 10일, 미국 상원 외교위원회의 비밀회담에 참석한 애치슨은 미국의 극동방위선이 타이완의 동쪽 즉, 일본 오키나와와 필리핀을 연결하는 선이라고 말하였다. 이틀 후(1월 12일), 외교위원장 톰 코널리는 이를 대외에 발표하였다. [1]
애치슨은 워싱턴 내셔널 프레스 클럽에서 열린 전미국신문기자협회에 참석하여 '아시아의 위기'라는 제목으로 연설하면서, 스탈린과 마오쩌둥의 영토적 야심을 저지하기 위한 미국의 동북아시아 방위선을 재확인하는 발언을 하였다. 태평양에서 미국의 지역방위선을 알류샨 열도 - 일본 - 오키나와 - 필리핀을 연결하는 이른바 '애치슨 라인'으로 한다는 것이었다. 그 결과로 대한민국과 중화민국, 인도차이나 반도가 미국의 방위선에서 사실상 제외되었다. 이 선언은 중화민국 정부가 국공내전으로 인하여 타이완으로 천도(국부천대)한 것에 대한 미국 조야의 충격을 반영한 것이다. 더욱이 한반도는 당시까지만해도 전략적으로 중요하지 않다는 인식이 지배적이었기 때문에 한국을 미국의 방위선에서 제외하게 됐다는 것이 후일의 평가다.[2] 애치슨의 이같은 선언 이후, 대한민국의 임병직 외무부장관은 즉시 주한 미국대사인 존 무초를 불러 애치슨 선언의 진의를 해명해 달라고 요구했다. 또 장면 대사에게 훈령을 보내 애치슨 발언의 경위를 신속히 조사하여 보고하라고 지시했다. 그러나 애치슨은 한국이 미국의 극동방위권에서 제외된 이유에 대해 한마디 회답도 보내주지 않았다.[3] 이후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애치슨의 선언에 그 책임이 있다는 비난을 받았다.
테프트- 카즈라 밀약
일본은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것을 계기로 본격적으로 한국침략에 나섰다. 대륙세력을 제압한 일본은 해양세력인 미국과 영국을 제압하거나 양해만 받으면 한국을 병탄하는 일은 거칠 것이 없다고 생각하였다. 미․영과 전쟁을 하기에는 힘이 부친 일본은 외교력이나 비열한 로비를 통해 해양세력의 양해를 얻고자 하였다. 그것이 제1,2차 영일동맹이고 테프트-카츠라밀약이었다. 아시아에 이미 많은 식민지를 확보한 영국은 한국에 더 이상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필리핀과의 전쟁에 힘이 빠진 미국은 러시아세력의 남하정책과 일본의 필리핀 침탈을 봉쇄하기 위해서는 한국을 먹이감으로 일본에 양보하는 대신 필리핀을 독점적으로 지배하고자 하여 쉽게 친일 ․ 반한정책으로 일본이 한국을 지배하는데 양해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