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
 
회원가입 비번찾기 인증메일재발송
     
 
출장안마,출장마사지,바나나출장안마이미지
총 게시물 3,145건, 최근 0 건
   
[세계사] 역사와 자본주의
글쓴이 :  밥솥                   날짜 : 2012-09-25 (화) 23:04 조회 : 5170 추천 : 8 비추천 : 0
밥솥 기자 (밥기자)
기자생활 : 5,145일째
뽕수치 : 198,602뽕 / 레벨 : 19렙
트위터 :
페이스북 :


"인간이 잉여생산물을 축적하기 시작했을 때부터 인간 역사가 자본주의가 아니었던 때는 없다."

이런 얘기는 자본주의의 영생을 기원하는 분들에겐 솔깃한 얘기다.
사실과 달라서 그렇지...

우선 기본적으로 교환경제와 자본주의 경제를 헷갈리면 안된다.
교환경제는 심지어 잉여생산물이 없어도 존재가능하다.
어부와 농부가 곡식과 물고기를 교환할 때 각자 입장에서는 그 곡식과 물고기가 잉여생산물일지라도 그 교환경제 공동체 전체로 보면 잉여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공동체 전체로 보았을 때 잉여생산물이 축적가능하다면 그 때부터는 그 잉여생산물을 각자 골고루 나눠갖느냐... 아니면 한 놈이 독점하느냐의 분배의 문제가 숙제로 던져진다.
인간의 역사는 결국 후자를 택했고 지배계급이 탄생했고 국가가 탄생했다.
그렇다고 해서 이 단계가 자본주의 단계인 것도 아니다.

오해하지 말자.
자본주의적 시스템은 고대에도 존재할 수 있고 중세에도 존재할 수 있다.
고대에도 화폐가 유통이 되었고 로마의 귀족들은 중국산 실크를 걸치고 다녔다.
그렇다고 그 시대가 자본주의 시대인 건 아니다.
핵심은 어떤 작동방식이 그 시대의 주류적 시스템으로 작동하느냐... 이것이다.

비주류적 시스템이 작동을 멈추는 것은 그 시스템 자체의 모순 보다는 주류적 시스템의 와해에 덩달아 무너지거나 또는 돌발적 외부변수에 기인한다.
로마귀족들이 비단옷 걸치고 흥청망청하다가 쫄딱 망한 것은 자본주의 모순 때문이 아니라 노예기반 대토지소유제의 모순과 게르만족의 침입 때문이다.

유럽 봉건경제의 출현은 로마 멸망 후 유럽 재통일에 필요한 정치적/기술적 역량 자체가 미천했기 때문이다.
프랑크 왕국이 제2의 로마가 되지 못하고 자체분열과 바이킹 침략으로 해체수순을 밟은 것이 봉건제가 정착하는 계기가 되었다. 
비슷한 시기의 중국은 선비족이 중국을 재통일(북위->수/당)하고 토지개혁을 단행했다. 
그런 면에서 선비족의 수준이 게르만족 보다 높았다고 할 수 있다.

즉 노예경제 다음에 필연적으로 봉건경제가 오고, 그 다음에 필연적으로 자본주의가 오는 건 아니다.
서양의 역사가 어쩌다보니 그렇게 흘러간 것 뿐이지 그 순서에 필연성이 있는 것은 아니다.
즉 과거 뿐 아니라 미래에도 노예경제나 봉건경제가 존재할 수 있다.
당연한 얘기지만 역사의 흐름은 기독교 이론이나 맑스이론에 의해 정해진 것이 아니라 공동체 역량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전개될 수 있다.

즉 자본주의 시대가 마감된다면 노예경제나 봉건제가 다시 나올 수도 있고, 맑스가 꿈꾸던 공산주의가 나올 수도 있고, 또는 전혀 새로운 대안적 체제가 나올 수도 있다.
정해진 것은 아무 것도 없다.

자본주의 체제가 다른 체제와 가장 다른 점은 '팔아야 산다'는 것이다.
이건 노예경제나 봉건경제와는 별 상관없는 자본주의 만의 특징이다.

예를 들어 로마의 귀족은 자기 소유의 땅에서 자기 소유의 노예들이 생산한 생산물을 취하면 그것으로 된 거다.
그것을 중국산 비단을 구입하는데 비용으로 지출하느냐 마느냐는 부차적인 문제다.

반면 자본주의는 노동자가 생산한 재화를 자본가가 취하는 단계까지는 같지만 자본가는 그 재화를 다시 소비자에게 팔아야 한다.
이것은 노예경제나 봉건경제와는 전혀 다른 양상이다.

그리고 자본주의가 산업혁명 이후 주류적 시스템으로 완전히 자리를 잡고 부터는 자본주의에 내재된 자체 모순을 어떤 방식으로 해결하느냐에 따라 세계사의 흐름이  좌우되어 왔다.
이건 달리 말하면 자본주의 모순을 해결 못하면 자본주의 시대는 끝난다는 의미다.

한번 수두를 앓게되면  수두 바이러스는 계속 체내에 남는다고 한다.
이것이 몇십년 뒤에 대상포진을 일으키기도 한단다.
그렇다고 수두 한번 걸렸던 사람을 전부 현재진행형 수두환자로 칭하지는 않는다.

마찬가지로 과거에도 미래에도 자본주의적 시스템 자체가 일부 유지될 수는 있다.
그렇다고 해서 그 모든 시대의 작동원리가 자본주의인 것은 아니다.

자본주의의 영속성을 주장하려면 주류적 시스템으로서의 자본주의가 모순을 극복하고 계속 유지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론을 제시해야 한다.

예를 들어 경제학도 출신 정치인 유시민은 '케인즈 경제이론이 자본주의에 영생을 부여했다'고 자기 저서를 통해 주장했다고 한다. 
매우 허접한 주장이라고 보지만... 예를 들면 그렇다는 거다.

구매력 소진을 극복하지 못하면 자본주의는 자동적으로 와해된다.
이 부분은 더 나가면 역사논쟁이 아니고 경제논쟁이 된다.

결론적으로 역사 자체에서 자본주의 영속성의 근거는 없다.
그런 주장이야 말로 인류의 자기 결정능력을 부정한다는 점에서 맑시즘적, 기독교적 역사관이다.

영원불멸의 지배원리는 없다.
브라흐만은 없다.


본 기사는 펌질을 금한다 (펌질은 아래 퍼나르기 소스만 허용되며 박스 클릭하면 전체선택된다)

글쓴이 :  밥솥                   날짜 : 2012-09-25 (화) 23:04 조회 : 5170 추천 : 8 비추천 : 0

 
 
[1/1]   산적 2012-09-26 (수) 17:01
감사합니다. 스크랩해 가요~*^.^*
   

총 게시물 3,145건, 최근 0 건
번호 사진 제목 글쓴이 점수 조회 날짜
문예, 과학 게시판 안내  미래지향 2 47226 2013
09-17
 노무현 대통령님의 글쓰기 지침 [22]  팔할이바람 30 102424 2014
01-15
1545 米, 곰팡이 오염주사 파문확산 [4]  팔할이바람 18 3665 2012
10-14
1544 현존 작가 작품 중 최고가격 [11]  떠돌이 8 4400 2012
10-14
1543 [한글용례-180] 어험스럽다 [32]  통곡의벽 9 4672 2012
10-12
1542 띄어쓰기 - 028 [2]  통곡의벽 6 4659 2012
10-12
1541 [필독!] 사이트 운영제도 전면 개편 공지 [34]  미래지향 31 10524 2012
10-11
1540 선관위의 광고 제재 관련 소문의 진상 [1]  미래지향 25 6563 2012
10-11
1539 [한글용례-179] 보암보암 [11]  통곡의벽 8 4727 2012
10-11
1538 띄어쓰기 - 027 [6]  통곡의벽 5 5125 2012
10-11
1537 [한글용례-178] 발맘발맘 [14]  통곡의벽 4 4997 2012
10-10
1536 띄어쓰기 - 026 [3]  통곡의벽 3 4858 2012
10-10
1535 UFO는 실제로 존재했다 [3]  팔할이바람 10 4651 2012
10-10
1534 [긴급공지] 박봉팔사이트 해킹 관련 보고 [8]  웹마스터 20 5679 2012
10-09
1533 "황장수 소장" 방송매체 출연 일정 (10/9) [11]  웹마스터 39 8373 2012
10-09
1532 [한글용례-177] 까불리다 [12]  통곡의벽 7 4644 2012
10-09
1531 띄어쓰기 - 025 [21]  통곡의벽 3 4685 2012
10-09
1530 올해의 노벨의학상 수상자 [4]  팔할이바람 14 4104 2012
10-09
1529 올해의 노벨의학상 수상자 [7]  팔할이바람 12 3696 2012
10-09
1528 [한글용례-176] 느럭느럭 [5]  통곡의벽 9 5250 2012
10-08
1527 띄어쓰기 - 024 [3]  통곡의벽 5 5326 2012
10-08
1526 [긴급]민주당 반대 황장수 소장 국감 참고인 무산 [19]  미래지향 15 4729 2012
10-08
1525 [베젠동크 가곡 中 2곡] 조용히 멈추어라  뭉크 3 2147 2012
10-07
1524 [한글용례-175] 구메구메 [3]  통곡의벽 6 5424 2012
10-05
1523 띄어쓰기 - 023 [5]  통곡의벽 5 4644 2012
10-05
1522 슈퍼컴이 인간을 이겼던 이유 [8]  팔할이바람 14 4685 2012
10-04
1521 [한글용례-174] 맥쩍다 [6]  통곡의벽 7 4746 2012
10-04
1520 띄어쓰기 - 022 [5]  통곡의벽 2 4786 2012
10-04
1519 열받은 지구를 위해 기억해야 할 숫자 셋 [2]  구장로 15 3552 2012
10-04
1518 [한글용례-173] 어기차다 [14]  통곡의벽 9 4881 2012
10-02
1517 띄어쓰기 - 021 [4]  통곡의벽 7 4838 2012
10-02
1516 플랭크톤(Plankton) [2]  떠돌이 8 4392 2012
10-01
1515 [한글용례-172] 샘바르다 [7]  통곡의벽 9 4567 2012
09-28
1514 띄어쓰기 - 020 [8]  통곡의벽 6 4827 2012
09-28
1513 [한글용례-171] 사로잠 [5]  통곡의벽 9 4925 2012
09-27
1512 띄어쓰기 - 019 [2]  통곡의벽 6 4752 2012
09-27
1511 [책] 베로니카, 죽기로 결심하다 [10]  고지야 6 4429 2012
09-27
1510 137억년된 은하계 발견 [6]  떠돌이 11 4424 2012
09-27
1509 볼테르가 한 말 아니다 [9]  밀혼 12 7653 2012
09-26
1508 [한글용례-170] 시퉁스럽다 [6]  통곡의벽 7 4686 2012
09-26
1507 띄어쓰기 용례 - 018 [5]  통곡의벽 5 4913 2012
09-26
1506  자본주의의 차별성 [2]  밥솥 8 4308 2012
09-26
1505 역사와 자본주의 [1]  밥솥 8 5171 2012
09-25
1504 [한글용례-169] 둥개다 [9]  통곡의벽 7 4980 2012
09-25
1503 띄어쓰기 용례 - 017 [9]  통곡의벽 6 4883 2012
09-25
1502 [한글용례-168] 엄발나다 [5]  통곡의벽 7 5377 2012
09-24
1501 띄어쓰기 용례 - 016 [2]  통곡의벽 5 5022 2012
09-24
1500 두번 죽었다 살아난 사나이  김금산 -4 2091 2012
09-24
1499 19세기 생활의 종교 [3]  팔할이바람 9 7092 2012
09-23
1498 윌 듀런트가 뽑은 교육용 양서 100권 (2) [13]  밀혼 9 5991 2012
09-22
1497 윌 듀런트가 뽑은 교육용 양서 100권 (1) [6]  밀혼 12 6002 2012
09-22
1496  모이바: 과학논문 글쓰기 강의 [5]  팔할이바람 10 4357 2012
09-22
처음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맨끝
 
 (펌) 어제 표결이 신의한수였…
 회비 납부 계좌
 굥의 미션
 가신(家臣) 과 노무현
 날뽕의 추억
 당신은 엘리트주의자인가요? -…
 운영자님께 고합니다
 지난해, 친구 2명의 자살과 병…
 시스템
 극문 X82 의 특징
 노무현을 좋아하는 ...
 지도자의 결단
 지난 20년의 교훈 - 실패를 즐…
 글쓰기
 악성 댓글러들과 조중동 휘하 …
 아더편집장님 그동안 수고하셨…
 아더 편집장의 마지막 인사
 사이트를 망치려는 악성 댓글…
 미래지향님, 회원 글들이 훼손…
 후원내역 (18년~22년)
<사진영상>
도서관 ▼
세계사 ▼
한국사 ▼
미술 ▼
철학 ▼
문학 ▼
인문사회과학 ▼
자연응용과학 ▼
 
 
 
ⓒ 2013 디어뉴스 dearnewsnet@gmail.com ㅣ 개인정보취급방침 ㅣ 회원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