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이하 민주당)이 야권연대 협상에서 무리한 입장 변화를 통해 협상 결렬을 자초하고 있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민중의소리가 25일 보도(클릭)한 바에 따르면 민주당은 23일까지 영남을 제외한 수도권 및 여타 지역에서 '10여개를 무공천'하는 방안을 검토해왔으나, 협상 마감을 하루 앞둔 24일 갑자기 소위 '4+1'안으로 급선회하였다고 한다. 다음은 민중의소리의 기사 일부이다. 통합진보당은 '10+10'안을 주장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수도권에서 10개의 지역구와 이미 합의를 이룬 부산˛울산·경남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서 10개의 지역구를 민주당이 무공천 하는 것이다. 이는 통합진보당에서 처음 협상대표로 나섰던 장원섭 사무총장이 사실상 공개적으로 밝힌 내용이다. 진보당은 24일 대변인브리핑에서도 이같은 주장을 확인했다.
문제는 민주당의 급격한 입장 변화. 민주당은 23일까지 10여개의 지역구에서 '무공천'하는 방안을 검토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는 23일자 기사에서 '경선없는 야권 후보단일화 10여곳이 유력'이라고 보도했다.
(중략)
24일 협상 자리에서 민주당이 들고 나온 협상안은 이보다 훨씬 후퇴한 안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구체적으로는 '4+1'안으로 수도권에서 4곳의 지역구를 수도권 이외 지역에서 1개의 지역구를 양보하는 수준에 그친 것. 민주당의 급격히 후퇴한 협상안이 나오자 양당의 협상은 냉각됐고 사실상 결렬 위기에 다다른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야권연대 협상은 통합진보당(이하 통진보당)이 지난 1월 16일 신년기자회견에서 민주당에 공식 제안한 지 한 달만인 지난 2월 17일 민주당이 야권연대특위를 설치하면서 시작되었다. 다음은 통진보당이 제안한 야권연대 관련 기자회견문(클릭) 일부이다.
이를 위해 민주통합당 신임대표로 선출되신 한명숙 대표님께 제안 드립니다.
현행 소선거구제가 국민의 지지가 왜곡되는 한계가 있다는 공동 인식에서 출발하여 독일식 정당명부비례대표제를 공동공약으로 합의하고, 선거결과가 정당지지율을 반영하도록 하는 노력을 야권연대에서부터 실천합시다. 이를 위해 총선승리를 위한 야권연대기구를 양당 대표 책임 하에 빠르게 구성합시다.
정당지지도 등을 고려하고 지역독점을 해소할 합리적인 기준에 입각하여 상호 호혜적인 방식으로 합의를 이끌어 야권 단일후보를 냅시다.
야권연대기구를 통해 노동관계법 제·개정, 한미FTA폐기, 복지확대와 고소득층 증세, 재벌 개혁 등 19대 국회에서 즉각 추진할 양당 공동입법과제를 포함하여 공동 정책 공약부터 우선 합의하여 가치중심 선거연합을 실현합시다.
아울러, 야권연대의 최소한의 신뢰 기반은 한미FTA 발효 저지, 교사 공무원의 정치적 자유 보장, 외환은행 매각 저지, KTX민영화 저지, 소값 폭락 등과 같은 현안에 대한 일관된 공동대응임을 강조합니다. 주요 현안에 대해 시급히 공조와 연대가 복원되기를 희망합니다.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