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莊子曰 事雖小 不作不成 子雖賢 不敎不明 (장자왈, 사수소 부작불성 자수현 불교불명)장자가 말하기를, 작은 것일지라도 하지 않으면, 이룰 수 없고 자식이 어질더하라도 가르치지 않으면, 현명해지지 못한다.
2. 父命召 唯而不諾 食在口則吐之 (부명소 유이불락 식재구즉토지) 아버지가 부르면, 머뭇거림없이 답해야 하며, 입에 음식물이 있거든 즉시 뱉어야 한다. -명심보감중에서-
신기허다.... 이거슨, 내가 오리에게 시키는 것인듸.... 압화가 부르면 밥먹다 말고 숟가락 놓고, 눈섭이 휘날리게 뛰어오라고. 킁.
명심보감이외에, 오리에게 내가 시키는 거 또하나 있네. 엄마(갑순이)가 숟가락 들어 먹기 전에는, 오리 니입에 밥을 넣치 말라.
크하하하. ......
1. 洗脸 [ xǐ//liǎn ] 洗脸盆 [ -- pen], 洗脸水 [-- shuǐ], 洗手间 [ xǐ shǒu jiān ] 洗头 [ xǐ//tou ]
2. 脚 [ jiǎo ] 赤脚 [chi//jiǎo] 没有下脚的地方 [ mei‧yǒu xiajiǎo de difāng ] 酒脚 [jiǔ -- ], 下脚[xia jiǎo], 泔脚[gānjiǎo] 雨脚[yǔ jiǎo], 日脚[ri jiǎo], 墙脚[qiang jiǎo], 山脚[shān jiǎo]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