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의 당원, 국민경선 선거인단 신청이 그야말로 폭주하고 있다고 합니다.
열린우리당 마지막쯤이나 MB정권 초기에, 민주당에 대한 국민들의 싸늘한 눈길을 생각해보면 정말 격세지감이 아닐 수 없습니다.
정말 축하 할 일입니다. 그야말로, 이명박 심판, 정권교체의 국민적 의지가 보여지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야권의 맏형인 민주당을 개혁해서 써보자는 국민들의 의지가 담긴 참여이기 때문이겠죠.
첨엔, 남의 당의 일이니....신경쓰고 싶지 않았습니다.
우리 코도 석자이니까요.
가만히 생각해보니, 민주통합당의 지도부 구성이 어쩌면, 올 12월 19일에 엄청난 영향을 주겠구나 싶은게 퍼득 뇌리를 때리더군요.
해서, 지난번 누군가의 글에 잠깐 댓글을 달았던 것을 조금 더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이번 민주통합당 지도부 경선에서 저는
첫째, 민주통합당의 혁신을 이끌 지도부가 들어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노대통령 서거로 세력이 모이고 시작했는데 다시 전선이 그어졌는데, 지방선거나 보궐선거, 국회에서 보여준 민주당의 모습은 정말 1미리도 전진한 것이 없었다고 생각합니다.
소수야당의 한계를 말하기전에, 소수야당이 이길 수 있는 어쩌면 유일한 길인 소정당과의 연대와 연합, 배려와 존중, 정책 합의 및 여론전 등을 잘 계획하고 실천했다면,이명박정권의 실정을 조금이라도 교정했거나 일찌감치 정치적 패배를 안겼을 겁니다.
이러한 민주당의 모습은, 국회의원 중심의 정당이 가지는 한계를 고스란히 보여줍니다.
당원중심의 정당이 100% 대안이라는 것이 아니라,
국회의원만의 정당이 가지는 한계를 민주당도 깊고 짙게 가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정당운영이 그러하니, 연대와 연합에도 지지부진할 수 밖에 없고
새로운 인물도 성장하지 못하는 거겠죠. 더욱이 지역과 역사적 일부 차이를 제외하고는 한나라당과 점점 닮아가는 민주당을 보는 것은 참으로 고역이 아닐 수 없었습니다.
그런 와중에서, 혁신과 통합의 이름으로, 지금의 경선 분위기를 만들어 낸 것은 정말, 칭찬하고 축하할 일입니다.
해서, 이번기회에 민주당의 역주행이나 엉거주춤을 혁신 할 수 있는 지도부가 들어와야 한다고 봅니다.
그것은, 완전히 다른 성격의 지도부의 구성에서 시작된다고 봅니다.
호남의 맹주니, 친노의 두루두루 대표이니....486이 민다느니..
도찐 개찐이라고 전 솔직히 봅니다.
특히, 이번 당 대표는 한나라당의 쇄신쑈를 능가 할 정도의 혁신안을 가진 후보가 되어야 합니다.
관리형이거나 계파 안배를 생각한다면, 이건 애시당초 글러먹은 야그입니다.
다시, 낡은 집에 페인팅 칠하는 정도가 될 가능성이 전 높다고 봅니다. 50만 60만의 경선 결과가 앞으로의 행보에 면죄부를 줄 것이 뻔하기 때문입니다.
두째, 전 이번 경선에서 민주당내 친노와 결별해야 한다는 기준을 가지고 있습니다.
민주당내 몇 안된다는 친노의 그동안의 역활에 대한 고민의 결과이기도 합니다.
민주당내 친노의 한두명이 지도부가 된다손 치더라도, 민주당이라는 타이타닉의 침몰을 막기에는 역부족이라고 생각합니다.
그것은, 민주당내 친노가 가지는 운명이라고 봅니다. 그들 역시, 민주당의 혁신보다는 계파 안배와 관리에 안주할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 지난 2년간 참여당과의 관계에서 그들의 역활을 생각해보면서 도출한 결론입니다.
쪽수가 적다고 말하는 것은 이젠 변명이라고 봅니다. 대통령님의 서거이후, 전면적인 복귀가 이루어졌고, 광역지자체장도 냈으며, 많은 당선자를 냈으며 정치적 영향력이 적어도 노 대통령의 참여정부 때 수준은 아니어도 일정정도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그 분들이 우리에게 보인 모습은 민주당내 소수 정파의 한계를 그대로 보이면서, 민주당의 퇴보를 묵인해 왔다고 봅니다.
이제, 민주통합당이 자신들이 보호하지 못했던 자신들의 지도자를 스스로 복원했다고 생각하니, 그들이 노대통령님 제사도 지내고 맏 상주 역활이라도 잘하길 바라는 마음입니다.
하지만, 지난 4년여간 보여온 그들의 실제적 역활과 능력에 대해서는 좋은 점수를 줄 수 없기에 그들과의 결별, 그리고, 경선에서 그들에게도 자신들의 4년을 돌아볼 시간이 주어져야 한다고 봅니다.
세째, 486세력에 대한 판단이 있어야 합니다.
솔직히, 한나라당의 소장파와 비교해 봤을때 솔직히 민주당내 486의 정치적, 정책적 자립력과 신선함이 별루입니다.
그들이 계속 성장하려면, 대한민국 전체를 놓고 고민해야 하는데, 민주당에서 정치를 배웠고 민주당의 젖줄에 기대어 성장해서인지는 모르겠으나...단 한명의 스타도 없이, 새로운 아젠다의 선창도 없이 민주당 중심의 패권적 야당운영에 동조해 왔고, 그 안에서 성장을 멈추었다고 봅니다.
그들에겐 이제 거대담론도 없고, 연대연합의 정신도 찾기 힘들며,
낮에는 전대협 386이나, 밤에는 동교동계의 모습을 보인다고 하면 억측일까요?
저는 그런 의미에서, 이인영을 중심으로 한 민주당내 486의 등거리식 당내 외교에
땡!을 울려주어야 한다고 봅니다.
네째, 총선승리와 정권교체, 장기적인 국가운영의 미래를 보았을 때, 민주통합당의 새 지도부는 당 대표부터 최고위원까지, 완전히 새로운 사람이 선출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대통합이 최선이라고 말할 수 없고, 연대가 그나마 최선이라고 말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대통합을 상정하고, 대통합의 정교한 그림과 신뢰를 줄 수 있고, 실천하는 지도부가 들어서지 않는다면, 야권은 반드시 분열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것은 외교와 같아서, 나의 당근을 먹던지, 채직을 맞던지라는 방식에
기존 민주당이 길들어져 있고, 그게 자신들의 기득권을 지키는 것임을 정말 너무나 잘 알고 있기 때문일겁니다.
따라서, 그런 생각은 꿈도 꾸지 않을 지도부가 압도적으로 구성되어야 합니다.
야권을 지지하는 국민들이 부여한 도전의 기회를 실천할 수 있는 지도부와 당대표는 새로운 인물이 되어야 가능하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저는 백만민란을 졸로 봤습니다. 미권스도 졸로 봤지만...그 분들이 우리와 다르지 않다고 봅니다.
저도 선거인단에 신청했기 때문이며, 그들의 마음과 저의 마음의 차이가 거의 없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민주당을 고쳐쓰자...단...민주당이 다른 소수야당과 힘을 합쳐야 한다.
분명히 보여줄 것이라고 봅니다.
다섯째, 해서 저는 문성근 후보를 당대표로 미는 것과 이학영 후보에게 투표할 것입니다.
그리 되기만 한다면 그 자체만으로도 대파란이며,
민주통합당과 통합진보당의 대통합이던, 연대이던 강력한 추진력을 바탕으로
두 그룹의 투쟁적, 부정적 경쟁이 아닌 국민들이 요구하고 있는 총선 대승과 정권교체의 과정에서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참여의 기쁨과 승리의 의지를 확신 시킬 유일한 길이라고 보기 때문입니다.
그래야, 다음의 정권이 튼튼 할 것이고, 신뢰를 바탕으로 미진한 정치개혁과 정치혁신을 진일보시켜 노대통령께서 이루고자 하셨던 진보의 미래를 펼쳐 갈 수 있을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