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를 졌다. 봉하성지라는 말만큼의 정치적 의미를 붙인다면 하드펀치를 맞았다. 한동안 이 충격에서 벗어나지 못할 수도, 더 오기를 가지고 덤빌 준비를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여기엔 오기를 가지고 한번 더 해보자는 사람이 많은 거 같다.
여러가지 생각이 떠오르지만, 계속해서 지면 안된다. 당은 후보를 내야하고, 후보는 당선되어야 하며, 그래야 정치세력으로 더 단단해질 수 있다. 승률을 높일 수 있는 아이디어를 내봐야한다.
이번 패배로 박지원씨나 문성근씨 입장과 같은 입장을 가진 사람의 주장이 강해질 수 있다. 여기에 뭔가 대답이 준비되어야하는 건, 개인적인 차원의 준비이기도 하지만 참여당 유지의 대의명분을 위해서도 필요한 일이다.
당장 노대통령의 말중, 새로운 정당창당이나 민주당탈당은 안된다는 말을 가지고 현재 참여당과 민주당에 대한 통합압력이 강해지고 있다. 소위 유훈정치 시도가 있다.
난 노대통령의 유지가 있는 정당이나 노대통령의 가치를 실현하는 정당까진 타당하지만 노대통령의 가치를 실현하는 "유일"한 정당이 되어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
"유일" 정당이나 이번처럼 "적자론"을 내세우면 민주당의 친노존재 때문에 참여당은 민주당내 계파간의 분열 또는 친노간 집안 싸움으로 평가받는다. 그리고 민주당이 참여당을 견제할 때, 항상 친노계를 내세우는 이간질에 당한다. 더 현실적으로 여기에만 집중해서 김해처럼 패배할 것이다.
지속적으로 같은 공격을 받을 순 없고, 그래서 다음과 같은 주장이 필요하다
노대통령은 돌아가시기전에 <진보의 미래>란 책을 남기셨다 중요한건 이건 친노정치인에게 남긴 말이 아니다. 이것이 왜 중요하냐면 공당이 내걸 대통령의 가치는 손학규 철새론이나 창당불가론이 아니라 지금 확인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 진보의 미래에 대한 고민에 유시민 대표는 자신의 사상을 자유주의에서 진보적 자유주의로 발전시켰다. 노대통령이 강조한 깨어있는 시민의 조직된 힘의 실현 방향을 결정했다고 봐도 된다. 이걸 어떻게든 더 드러내고, 더 강조하고, 더 지지를 호소해야한다고 본다.
또한 참여당은 노대통령이 돌아가시기전에 강조하셨던 "깨어있는 시민의 조직"된 힘을 정치현실에 구현하는 수단이다. 그리고 이 수단은 반드시 단일정당만 있어야 되는 건 아니다. 이 말도 역시 친노정치인에게 한 말이 아니다.
달리말하면 노대통령의 가치 중 "깨어있는 시민의 조직된 힘을 보여주는 일"은 정당 하나만으로 이뤄지는 것이 아니고, 많으면 많을수록 좋은 일이다. 이걸 이젠 강조해야한다고 본다.
그렇다면 시민을 조직하기 위해선, 다시 필수적인 전제조건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시민은 그냥 시민이 아니라 "깨어있는" 시민이 많아야한다.
난 유시민 대표의 대중적 지지도를 더 적극적으로 활용해야한다고 생각한다. <국가란 무엇인가>를 내신 후 강연을 하신다고 하는데, 더 많이 하셨으면 좋겠다. 조직을 만들기엔 시간이 필요하고, 선거에서 그 조직을 활용하는데는 더 시간이 필요하다. 그렇다면 그 시간동안 대표가 가진 강점, 아니 참여당이 가진 강점을 더 보여줘야한다.
여기에 같이 문제가 되는 건, "유시민 1인정당" 이미지다. 친노 사조직에 대한 문제도 문제지만 이것도 심각한 문제다 당장에 공당과 공당간 단일화문제를, 정몽준-노무현의 후보자간 양보문제로 만들어 공격당했다.
그 때 공당이었던 민주당은 찬성하는 입장이었고, 노대통령은 정당의 의견을 수락했다. 그런데 이차이를 무시하고 언론은 유시민의 개인적 양보로 만들어 유시민을 공격했고, 이건 참여당을 유시민 개인정당으로 생각하지 않는 한, 있을 수 없는 관점이었다.
이 문제 해결에 관심을 많이 가져서 좋은 생각을 많이 내놨으면 좋겠다.
내가 생각하는 방법은 노무현재단과 함께 더 많이 강연을 하는 일이다. 이 일은 노무현 정신을 특정정당안이 아닌 사회에 존재하게 만들고 참여당의 존재를 친노간의 분열이라거나, 친노간의 계파싸움이란 걸, 희석시킬 수 있게 된다.
참여당은 진보를 위해서 노력하고, 그런 진보실현으로 시민을 위해서 노력하고 다시 노무현 가치실현에 노력하는 거라는 걸 보여준다. 하지만 시원한 해결책이 아니라 고민이 더 필요하다.
또한 이런 단독 또는 합동 대중강연은 "생활정치"를 실현하는 수단이다.
난 이런 생활정치를 하기 위해선 대중강연도 필요하지만, 선거지역에 대한 더 많은 공부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장유신도시에 아파트 문제를 조금만 빨리 알았다면, 그리고 했는데 늦었다면 조금 더 치밀하게, 조금 더 구체적인 지역공약을 내세워야한다고 생각한다. 너무도 맞는 말이라, 잊고 지내지만 "소통"은 그 어떤 선거운동보다 효력이 강하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이건 이미 지적한 일이지만, 진보정당과의 통합도 계속 추진해야한다. 이번에 이렇게 민주당에 당한 건, 참여당만의 일이 아니라 같은 정당안의 이계안도 진보신당의 노회찬도 당한 부당한 일이다. 혼자만의 문제가 아니고 끝난 일도 아니다.
야권연대가 이번을 마지막으로 끝난 일이 아니니, 통합도 있겠지만 설사 통합이 안되더라도, 부당한 규칙 강요에 언제든 희생될 수 있는 같은 입장을 가진 거라고, 지속적으로 설득해야한다. 연대를 위해서도 필요하다.
쭉 봐서 알겠지만 특별한 아이디어는 없다. 그래도 꽤 강하게 주장하고 있다. 너무도 맞는 말이라 강하게 강조해도, 실속없다면 다시 이걸 강조하고 싶다.
이길 수 있는 아이디어를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한다. 설득력이 좀 약하기 때문에 함석헌 선생도 이런 말을 했다고 덧붙이고 더 설득력을 높이기 위해서 유시민 대표도 생각은 힘이 세다고 했고, 이것도 부족하다면, 깨어있으려면 생각을 해야한다는 노대통령이 말씀도 덧붙인다. 권위에 호소하는거라면, 참여당이 강점을 가진게 아이디어말고 당장에 뭐가 있나? 없다.
어떻게 이겨야할까? 고민하자 현재의 책임따지기나 그 책임 대상이 된 사람을 원망하는데 쓰는 시간은 너무도 아깝다. 이미 하고 있는데 뒷북이라면 더 가열차게 하자
민주당과 통합은 안된다고 본다.
참여당과 진보신당 통합은 몰라도, 야권연대을 해서 우리 몫을 챙기는 것이 답이다.
이번에 실패를 했지만, 김해에서 해법을 찾아야 한다.비록 지기는 했지만 선택과 집중 그것이라고본다.
현실적으로 이번 2012년에는 현실적으로 목표를 선택과 집중 후 5명의 국회의원 당선 과 참여당지지율을 높여 비래대표에 승부를봐야 한다. 지역민들은 그 지역에서 힘있는 당과 힘있는 인물을 찾아서 그에게 표를 준다. 그렇다면 그런인물을 발굴하고 그가 나가면 선거에 승리 한다는 등식이 성립되어야 한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