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대평가 유지해야한다. 절대 평가하면 과학고, 특목고만 유리해질 뿐. 과외와 학원을 통해 더 유리하게 하고자 하는 꼼수 안보여?
전형 다양화는 이미 실시되고 있고 더 늘이는 것은 반대하지만 줄이는 것도 적절치 않다. 이미 학교장 추천, 지역고교, 특목고 등등으로 따로 구분해서 뽑고 있다. 그게 괜히 그런것이 아니라 주어진 환경이 다르면 성취도 당연히 달라지는 것을 반영한거다. 더 좋은 환경, 더 좋은 교사가 있으면 성적이 더 잘나오는 것은 당연하다. 그건 이미 수능에 반영된 것이므로 내신까지 좋은 환경을 가진 사람들에게 이득이 가는쪽으로 가는 것은 형평성에 맞지 않다. 그렇다고 고등학교 때 배우는 것 가지고 능력 운운하면 웃기는 소리므로 그냥 무시한다.
대학 이상에서 공부 잘하는 사람은 수능 잘하는 사람보다 내신 잘하는 사람일 경우가 더 많다. 내신 잘하는 사람이란 주어진 환경에서 다른 사람들보다 더 잘 적응했다는 것이므로 환경의 영향을 비교적 제하고 평가할 수 있다. 주어진 환경에서 잘 적응했으면 더 나은 학습환경이 주어질 경우, 더 나은 결과를 보여줄 개연성이 있다. 이게 바로 내신을 수능과 차별화해서 평가하고 있는 이유가 된다. 모든 사람들에게 똑같은 학습 환경을 줄 수는 없다. 다만 주어진 환경에서 잘해왔다면 다른 환경에서도 잘할 가능성을 평가해준다. 이게 내신 평가, 특히 상대평가의 이유가 된다.
내신마저 절대평가로 돌리면 특목고 아니면 사람취급 못받는 시대로 들어선다. 이것을 바라나?
고교내신절대평가의 장점
학생들의 내신관리 부담이 다소 덜어질 수 있다는 거... 등수에 목숨거는 일은 좀 덜 하겠지. 그러나 공부의 부담이 그리 크게 줄지는 않을 것.
난 내신보다 수능을 잘 보는 학생들을 더 능력있는 학생으로 평가하는 입장.
내신은 짧은 기간 공부한 걸 달달 외워 시험을 보는 거지. 순응적이고 성실한 학생들.
수능은 오랜 시간 공부한 걸 종합적으로 테스트하는 것. 달달 외우는 것으로는 안되고 서로 다른 것을 종합해서 이해하는 능력이 필요.
중간 기말고사도 전국 공통으로 하고 서울 강남 지방 떠나 한판 붙는게 평등 아닌가요?
돈에 의한 사교육만 불펑등 인가요 태어날때부터 둔한아이 머리좋은아이도 있고한데
사교육 없이도 부모가 신경 쓰면 제법 하던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