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
 
회원가입 비번찾기 인증메일재발송
     
 
출장안마,출장마사지,바나나출장안마이미지
총 게시물 3,145건, 최근 0 건
   
[미술] [그림 특강] 자체 현대회화특별전
글쓴이 :  소똥할매                   날짜 : 2013-06-03 (월) 15:46 조회 : 5901 추천 : 17 비추천 : 0
소똥할매 기자 (소기자)
기자생활 : 4,869일째
뽕수치 : 158,847뽕 / 레벨 : 15렙
트위터 :
페이스북 :



[그림 특강]전시장을 찾았더니 마침 현대회화특별전을 하고 있네


진짜루 있었던 전시는 아니구...

내가 몇 사람 불러서 여긋따 그림을 걸으라구 했어.

순순히 안내놓길래 강제로 업어온 그림들임.

 

윗 그림은 김지원작가의 작업인데.

어때?

 

어디에. 무엇에 먼저 시선이 갔어?

뭬얏??

순식간에 화면을 훑었다구.

그 모든 요소를 한꺼번에 버무려서 그것들이 마치 입자가속기에서 충돌한 후 생기는 입자의 궤적처럼 머리속에서 어떤 궤적으로 읽히더라구???

 

으흠...

되얏네.

그렇게 그림을 보는 거. 맞아.

 

그 다음에 차분히 벽인지 바닥인지를 나누는 선들과 그 면들에 채워진 가로의 굵은 터치들... 세로의 변화있는 날렵한 텃치들이 눈에 들어왔다구?

그러다 보니 화면 중앙쯤에 이상한 도형과 그 안에 들어있는 두 물체에 눈이 꽂혔는데... 들여다 보니 뭔 식물들이라구?

 

그 식물들 조차도 '그 식물'들을 그리기 위해서 그린 것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구... 다른 데 흩뿌려져 있는 터치들 처럼 어떤 동작들로 읽힌다구?

 

그래, 자네. 현대회화를 감상할 수 있는 눈을 가지게 되었네 그랴.

 

 

차규선 작가가 캔버스에 까맣게 밑칠을 하고 두둑한 흰색을 큰 붓으로 시원하게 칠한 위에 여러가지 재료로(붓을 거꾸로 잡았을 수도 있고, 옆에 적당히 굴러다니는 도구로) 살짝 긁어내니 나무가지도 되고 이파리도 되고 관목도 되고... 좋네...

그러니까 요것은 형태는 물감을 긁어내기 위한 길 내지는 방편이 되고 있는 거고.

저 붓질과 긁어내는 행위들이 집중과 분산을 통해 시원서글한 쾌감을 주고 있구만

 

글치. 글케 보이지?

 

 



정태경 작가의 작품 두 점.

 

아! 한 가지 일러둘 것은... 나두 이 전시장에 들어오기 전에는 이 작가들이 누군지도 모르고 작업도 본 적이 없어. 나두 다 초면이라는 거.

그러니까... 지금 뒷짐을 지고 그림을 보는 자네들이나 나나 처음대하는 이것들에 대해 같은 입장에서 자기의 느낌을 말 할 수 있다는 거지.

 

옇든.

밑에 것은 붓질이 참 좋다.

참 다양한 붓질이 적당한 꾸밈새(그닝깐 그린다는 행위가 이런 거야. 물감이 붓질에 의해 올려진 상태 그 자체)로 시원하다. 머리속에 시원한 바람이 훅 불어오는 거 같아. 실제 잘 그린 풍경화보다 훨 풍경스러워.

위에 것은.... 연잎같은 거야...?

옇든. 뭐든 간에. 나도 붓질이라면 쫌 해봐서 아는데...(뭬야... 어디서 들어본 것 같은 이 기시감은...) 참 아기자기하게. 정말 재미나게. 참... 잘 그렸네...라고 밖에 할 말이 엄썽.

 

 

잠깐 피카소로.

대개 그림을 모르는 일반인들이 난해하다고 생각하는 첫주자인 피카소.

그런데 실은 그 냥반으로부터 멀리도 흘러왔어.

떠돌이가 물었었지.

그림 자체만으로 좋은 게 판단이 되는 거냐구.

그러닝깐... 이 피카소그림은 졸라 비싸겠지만.

나는 이 그림은 그닥 가지고 싶지 않아.

그림 자체의 질로만 따지자면... 윗 그림들에 한참 못미쳐.

(그래서 얼마나 좋은 지 몰라. 안 그럼 대천재 이후에 태어난 사람들은 아무 것도 못하게? 그러면 안되잖아. 끝없이. 끝없는 혁신이 가능한 현실을 살고 있다는 거. 참 좋은 일이야.)

 

다시 현대로 돌아와서.

 

 

마이클 래데커라는 작가의 작품인데.

구석구석 잘 그려서 참 좋은데.

한 가지 싫은 데가 있는데.(물론 나의 관점이지만 말야.)

 

하단에 블럭 틈사이를 뚫고 풀이 올라오고 있는 것 같은데...

나는 이거이 처참한 실패가 아닌가 싶어.(형태는 집요하게 작가를 강요한다)

저거이 없으면 모두가 구성될 자리에 구성의 요소로서 자리잡고 있는데 말야.

 


마를렌뒤마의 작업.

뒤늦은 댓글을 여기다 달게 되네.

문학은 사실주의 음악은 낭만주의 미술은 표현주의가 지배적이라고 한 말.

다른 분야에 대해 자신이 없었지만 미술에 대해서는 맞다는 생각이었어.

 


 

두 점 더 감상해 보자.

정말 강렬하군.

할 말 엄씀.


 

필립파스쿠아라는 작가.

이것도 뭔가 강렬하지?

그런데... 이런 그림은 실은 별로야.

기법(여기서는 뿌리기와 번지기. 튀기기 정도의)을 쓰는 그림들은 일단 이류.

그런데다 그 기법들이 우와~!할 정도의 형태묘사와 만나다니...

별로야...

 

무조건 닮게 그리면 나쁜 거냐믄. 그게 아니라서 지금 이 예제를 들고 있는데.

가령.

 



강강훈 작가의 작업 두 점인데...

이렇게 극사실로 접근을 하더라도

화면자체에 대한 평면성을 잃지 않는 경우(얼굴뿐만아니라 방독면의 숫자며 끈의 질감. 머리카락의 엉킴등이 입술이나 눈 또는 피부의 구성입자들과 전혀 차별없이 다뤄지고 있음)가 고전적리얼리즘과의 결정적 차이.즉 과거의 사물표현은 단촛점렌즈로 들여다본 세상이라면 이런 극사실주의 작품은 세밀한 다촛점 렌즈를 채택하고 있다는 차이. 그 다촛점렌즈는 마치 다리미 처럼 화면을 평평하게 펴내서 위에 예제로 정태경작가의 추상적 풍경들과 다르지 않은 성과를 이뤄내고 있다. 

현대적 관점이 아니라면 도저히 나올 수 없는 훌륭한 회화.

 


중국작가 김산의의 그림인데...

이렇게 구성으로 가는 경우도 훌륭한 회화.

 

논외로...중국의 미술이 현대세계의 미술시장에서 강세인데...

그것은 현대미술이 '그린다'라는 교의에서 한참 벗어나 있는 것에 대한 반동으로 이해를 해야 함. 중국의 미술이 미술사적인 일정한 헌신을 하고 있다고 보여지지는 않아.

 

입자가속기에서 입자들을 충돌시키면 충돌한 입자(미술)들이 깨지면서 그것을 구성하던 더 작은 요소(그림을 구성하는 최소요소)들이 선명하게  보이듯이

현대회화는 그런 작은 요소들이 독립적 경향을 띠고 재조립되는 과정에 있는 것이어서 어디까지 그런 실험이 이어질 지는 모르겠어.

하지만 이런 과제를 안고 작업할 수 있다는 거. 멋쪄...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벤 샨이라는 미국의 화가가 있음.

포스트모던의 시대까지 살지 못했지만 회화성이라는 측면에서 선구적인 데다

그림의 사회적책무까지 생각했던 양반인데. 그림 몇 점 보면서 전시회장을 나가서 쏘주나 한 잔 걸치자구~(안주는 뭘로 할까낭... 므흣~)

 




 


본 기사는 펌질을 금한다 (펌질은 아래 퍼나르기 소스만 허용되며 박스 클릭하면 전체선택된다)

글쓴이 :  소똥할매                   날짜 : 2013-06-03 (월) 15:46 조회 : 5901 추천 : 17 비추천 : 0

 
 
[1/17]   임대국 2013-06-03 (월) 15:54
1. 대문 올리느라 제목은 눈물을 머금고 조금 수정했음.(본글에 살려뒀음)
 
 
[2/17]   칼키 2013-06-03 (월) 16:57
아직 다는 몬 알아 듣겠지만, 할매 글 완전 소중하다.
부족하지만...성의야.

 
 
[3/17]   겨울나무 2013-06-03 (월) 20:10
할매, 수강료는 어디로 내야 하남유?
 
 
[4/17]   소똥할매 2013-06-03 (월) 20:52
임대국
바꿔놓으니 좋다.
잘 했쓰~

칼키
어메. 이거시... 먼 일이다냐...
과한 후원은 낭중에 반드시 후환을 입을 것이다. 잉!!

겨울나무
칼키가 대납. 올킬.
 
 
[5/17]   미나리 2013-06-04 (화) 00:59
마이클 레데커 그림 설명 진짜 공감되네
할매 사랑합니데이~!

아는 작가 이름이 하나있네ㅋㅋ
 
 
[6/17]   박봉팔 2013-06-04 (화) 09:11


이 그림 참 좋다.
 
 
[7/17]   박봉팔 2013-06-04 (화) 09:13
극사실주의 그림들은 결국 추상화처럼 되는 거 같아.
현미경으로 본 듯 여자 젖꼭지를 확대한 그림 봤는데,
극단적인 클로즈업도 일종의 극사실주의잖아.
그런데 너무 클로즈업 하니까 에로티시즘이 없어지지.
순수한 질감만 보이면서 순수한 美만 느낄 수 있는.
또는 지나친 원경, 즉 항공 풍경사진 같은 것도 추상화처럼 되더라고.
 
 
[8/17]   바람 2013-06-04 (화) 10:23
보는 것도 훈련이 필요한가봐. 이 그림 쫌 웃긴데^^


그리고 오래전에 필이 꽂혔던 그림이 있었는데 유니콘의 탄생을 찾으러 갔다가 없어서 다른걸로 가져옴....아래 그림은 제목은 Tiger인데 참 정겹고 이쁘다는 느낌이 들었음.



할매 그림 이야기가
꼭 옛날 이야기처럼 구수하고 좋아.앞으로도 계속^^
 
 
[9/17]   소똥할매 2013-06-04 (화) 16:39
박봉팔
지금 당장 화가를 해도 될 감성.
극사실을 통해 형태의 해체를 경험하는 것은 대개가 의식하지 못하는 새에 그렇게들 한다. 마침 그 순간을 들여다 보고 포착해낼 수 있는 것은 남들이 가지지 못한 봉팔이 능력.

바람
웃긴 이유는. 바람이의 눈과 뇌가 형태들을 좇아서 스토리를 구성하니까 그렇다.ㅎㅎ
내가 이 연재를 쓴 이유가 바로 그런 거 하지 말라는 거. 알지?

타이거란 그림이
정겹고 이쁘다는 데야 할 말 없지만.
지금은 미술시간.
자꾸 문학수업을 하고 싶어하냐.
 
 
[10/17]   바람 2013-06-04 (화) 17:03
할매 /문학시간 아닌 미술시간^^
예전의 학교 미술시간은 참 지겨웠는데
할매 수업은 참 잼있어 
눈과 뇌가 형태를 쫓아가는 습관이 순식간에 사라지는 것이 자연스러울까?
 
 
[11/17]   미나리 2013-06-04 (화) 17:42
바람/
미칭게이가 되면 돼 ㅋㅋㅋㅋ
자연스러울까 아닐까 라는 걱정조차 안 하는
할매 맞나유?
 
 
[12/17]   Buggy 2013-06-05 (수) 03:14
마이클 래데커 작가.
화분(그림자)과 잡초(빛)의 구도가 참 좋아.
인위적, 자연적 대비....
 
 
[13/17]   이상형 2013-06-05 (수) 03:32


......
 
 
[14/17]   소똥할매 2013-06-05 (수) 08:46
미나리
물어보지맛!! 


Buggy
오오~ 나두 그 색대비가 넘흐 좋드라.
 
이상형
뭘 보는 게냣!!
저거슨 고기가 아니다...
 
 
[15/17]   이상형 2013-06-05 (수) 11:18
소똥할매/ 할말이 엄따..
 
 
[16/17]   뭉크 2013-06-05 (수) 15:29
강의들으면서 그림을 보니 교양이 팍팍 쌓이는듯하다
자주 부탁해
 
 
[17/17]   김자윤 2013-07-04 (목) 14:06
기다리다 목이 빠져부렀네.
   

총 게시물 3,145건, 최근 0 건
번호 사진 제목 글쓴이 점수 조회 날짜
문예, 과학 게시판 안내  미래지향 2 47112 2013
09-17
 노무현 대통령님의 글쓰기 지침 [22]  팔할이바람 30 102168 2014
01-15
3145 째라투스투라는 이렇게 생환했다. [3]  박봉추 4 4158 2022
06-04
3144  과학: 종교 반이성주의를 깨다 [3]  팔할이바람 6 3991 2022
05-29
3143  짧은 단상: 손실회피 심리에 대하여 [7]  팔할이바람 4 4686 2022
05-28
3142 짜라투스투라는 이렇게 비볐다. [5]  박봉추 1 4346 2022
04-30
3141  백혈병과 세포 치료제 [12]  팔할이바람 4 4453 2022
04-23
3140 사슴과의 포유류인디 개처럼 짖는 동물??? [1]  땡크조종수 3 3759 2022
04-19
3139 힐링 사색 - 멍때리기  지여 4 2259 2022
03-21
3138 사실과 진실 [1]  지여 1 4918 2022
02-27
3137 (장문주의) 억세게 운 좋은 사나이의 사주(업데이… [6]  술기 0 5969 2022
02-21
3136 사랑보다 더 슬픈, 사랑보다 더 무거운....  지여 1 2447 2022
02-15
3135 반대말 알면, 세상이 달리 보인다  지여 1 2654 2022
02-12
3134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다 [2]  지여 2 5128 2022
02-11
3133 까라마조프가의 똥꼬들 [2]  박봉추 3 5127 2022
01-30
3132 삼3삼3 [2]  술기 2 4730 2022
01-28
3131 억세게 운 좋은 사나이의 사주 [5]  술기 -1 6171 2022
01-26
3130 witch hunts(마녀사냥)  지여 1 2526 2022
01-23
3129 반불교집회를 주도하는 사람 모친의 종교특 [14]  술기 0 6146 2022
01-19
3128 정치철학, 철학이 있는 정치인이어야  지여 2 2382 2022
01-19
3127 김건희 녹취록을 보고 결정된 올해(음력)의 사자… [2]  술기 1 4572 2022
01-16
3126 멸공짜, 생 공, 공, 공, 공  지여 1 2310 2022
01-14
3125 전지전능한 판검사님 그 이름을 거룩하게 하옵시…  지여 1 2501 2022
01-05
3124 새해부터 - 선도국민 언어습관  지여 1 2358 2022
01-03
3123 귀신 씻나락 까먹는 소리  지여 1 2495 2021
12-27
3122 세뇌된 문구 - 뒤집어 보면, [1]  지여 1 5291 2021
12-26
3121 질문이 답변보다 중요하다 [1]  지여 2 5409 2021
12-22
3120 노무현과 10권의 책 [1]  지여 2 5443 2021
12-21
3119  노무현과 불교 [16]  술기 4 5861 2021
12-19
3118 생각의 속도, 정보의 속도, 광속  지여 3 2491 2021
12-17
3117 월주스님 탄압 현대한국불교사 [10]  술기 0 5153 2021
12-14
3116 우주라는 책에 수학으로 쓰여진 철학 [1]  지여 5 5640 2021
12-14
3115 기생진향과 법정스님(7천평) [1]  지여 3 5543 2021
12-13
3114 아파트 神 [3]  지여 3 5500 2021
12-10
3113 고시촌, 기레기, 오리발 [1]  지여 2 5417 2021
12-05
3112 알페스 와 딥페이크 [1]  지여 2 5409 2021
12-05
3111 오미크론 [1]  지여 2 5073 2021
12-05
3110 박준 의 시 한편 감상 [1]  지여 2 5377 2021
11-30
3109 이만큼 살게 된게 누구 덕인데? - 순이 오빠 아버…  지여 2 2409 2021
11-30
3108 이만큼 살게 된게 누구 덕인데?  지여 2 2513 2021
11-30
3107 침몰하는 배에 관한 과학적 근거들 [3]  술기 2 4798 2021
11-21
3106 달반지 [3]  술기 1 4740 2021
11-12
3105 길벗은 이 글에 나타납니다 [36]  술기 0 7700 2021
11-12
3104 얼마 남지 않은 대통령의 사주 [2]  술기 2 4997 2021
11-06
3103 문문붇답 [14]  술기 2 6398 2021
10-12
3102 공짜로 봐 준다) 이재명사주 앞날은 [11]  술기 0 5173 2021
10-11
3101 마니산에 부는 바람 2 [14]  술기 1 5385 2021
10-09
3100 나를 수박통빨이로 만들어 준 시 한 편 [2]  술기 2 4969 2021
10-09
3099  화천대유여 어디로 가시나이까 [14]  술기 0 5573 2021
09-23
3098 대한민국 대통령의 사주 [1]  술기 3 5054 2021
09-18
3097 코로나 백신 부스터샷은 필요없다 [7]  팔할이바람 5 6547 2021
09-14
3096 대한민국의 사주팔자는 [2]  술기 5 5158 2021
09-08
 1  2  3  4  5  6  7  8  9  10  다음  맨끝
 
 (펌) 어제 표결이 신의한수였…
 회비 납부 계좌
 굥의 미션
 가신(家臣) 과 노무현
 날뽕의 추억
 당신은 엘리트주의자인가요? -…
 운영자님께 고합니다
 지난해, 친구 2명의 자살과 병…
 시스템
 극문 X82 의 특징
 노무현을 좋아하는 ...
 지도자의 결단
 지난 20년의 교훈 - 실패를 즐…
 글쓰기
 악성 댓글러들과 조중동 휘하 …
 아더편집장님 그동안 수고하셨…
 아더 편집장의 마지막 인사
 사이트를 망치려는 악성 댓글…
 미래지향님, 회원 글들이 훼손…
 후원내역 (18년~22년)
<사진영상>
도서관 ▼
세계사 ▼
한국사 ▼
미술 ▼
철학 ▼
문학 ▼
인문사회과학 ▼
자연응용과학 ▼
 
 
 
ⓒ 2013 디어뉴스 dearnewsnet@gmail.com ㅣ 개인정보취급방침 ㅣ 회원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