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근대
20 세기초 미국은 도시화되어 1920년 미국민의 반은 도시로 이주했다.
1450만명의 유럽,러시아,멕시코,아시아인들의 이민으로 미국의 도시에
살게되었다.
샌프란시스코의 윤기,미키 하야카,제이콥 로렌스등이 활동하고 남부흑인
들이 시카고,뉴욕에이주하여 레지날드,마쉬,벤샨등이이방인의 고립감을
그렸다.로버트 헨라이는 이들에게 영향을 준 미술가이자 선생으로 이성을
중시하는 인문주의적 접근을 요구하였고 보고 느낀것을 사실적으로 그리
라고 충고하였다,
모더니스트들은 형상과서사를 강조하여 추상과입체주의적방식을 받아들여
미국적인 주제로 다루었다
찰스테무스,로지아오카프,찰스쉴러등이 주택,산업건축물,사막에서 발견된 뼈
선인장,인상적인 대화와재즈를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미국적인 문화를 표현하는 미학과 구성을 발전시켰다
.
[노예들]/ 토마스하트벤튼
백인노예상이 배로 미국에 바로 도착한 흑인가족을 잔인하게 매질하는
장면은 '미국역사서사시'의 연작으로 어두운면을 보여준다, 그림속에
교회의 탑도보여 노예제도가 흑인,백인 모두를 비인간적으로 만드는
국가적 문제로 나타냈다.인종,노동.경제사이의 역사적인 연관관계를
조명했다
[3번가 고가철도] /레지날도 마슬
드로잉 에 대한 애정과 저널리즘기질을 발휘하여 포착된 대도시의
일상을 보여준다.뉴욕의 시민들의 노동계급이 예술의 주체로 삼는것에
존경을 드러냈다.프랑스의 화가 '오노데 도미에를'의 '삼등열차'의 구성과
기획에 영감을 얻었다.
윤기의초상] /오티스올드필드 [화가의스튜디오] /윤기
[흑인]/미키 하야카와
세작품은 캘리포니아미술학교에서 공부하던 모더니스트들이 인종적으로
다양하고 교류하고 서로를 그리는 모습을 연작식으로 이어져있는 모습이
흥미롭다.서로의 영감을 주고 받으며 진보적인 미술공동체를 이끌었던
그들은 미국 근대미술 발전시킨 아시아계와 흑인의 미술가였다.
[엑소더스] /로버트 스펜서
모세의 이집트 탈출을 현대적으로 해석한그림이며 근대미국의 삭막한
삶을 암시하는 버려진도시 밖으로 인도한다.윌리엄 메릴체이스의 학생
이자 뉴욕에서 로버트켄나기의 영향을 받은 스펜서는 펜실베니아주의
뉴호프에 정착한후 미국적 인상주의 화풍을 받아드렸다.미국의 삶이 기
계에 의존하고 비인간적이라는 사실에 절망하고 폐허가 된 건물과 그것을
버리고 떠나는 가난한 노동자들로 이루어진 풍경은 스펜서가 말년에 갖게
된 염세주의적 세계관을 나타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