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
 
회원가입 비번찾기 인증메일재발송
     
 
출장안마,출장마사지,바나나출장안마이미지
총 게시물 3,145건, 최근 0 건
   
[문학] <독후감> 곰스크로 가는 기차
글쓴이 :  망구                   날짜 : 2012-03-07 (수) 05:08 조회 : 10066 추천 : 27 비추천 : 0
망구 기자 (망기자)
기자생활 : 5,135일째
뽕수치 : 125,780뽕 / 레벨 : 12렙
트위터 :
페이스북 :


● 곰스크로 가는 기차

 

글쓴이 : 프리트 오르트만

출판사 : 북인더갭

 

 

한 사내가 있다.

그의 오래된 꿈은 기차를 타고 곰스크로 가는 것이다.

어릴 적 아버지 무릎에 앉아서 들었던 곰스크 ... 그 멀고도 멋진 도시 ...

 

사내는 결혼을 하자마자 엄청나게 비싼 기차표를 사기 위해 전 재산을 다 팔아 마침내 곰스크행 특급열차에 몸을 싣는다. 익숙해진 것들로부터 떠나야 하는 그의 아내는 곰스크로 가는 것이 내키지 않지만 사내는 곰스크에서 펼쳐질 막연하지만 멋진 미래에 들떠 있다.

 

여행 이틀째, 기차는 중간 기착지에서 두 시간을 머문다.

답답한 기차여행에 지친 아내는 멋진 풍경에 이끌려 사내를 이끌고 산책을 한다.

사내 역시 오랜만에 맛본 휴식의 달콤함에 취해 시간 가는 줄 모른다 ...

그런데 멀리서 기차의 기적소리가 들리고 ... 서둘러 기차역으로 돌아오지만 기차는 이미 떠나버렸다.

 

설상가상으로 곰스크행 기차는 매일 운행하는 것도 아니고 언제 올 지 기약도 없다. 다음 곰스크행 기차가 올 때까지 부부는 기차역 부근 음식점을 겸한 허름한 역전호텔에 잠시 머물기로 한다. 며칠 후 곰스크행 기차가 역에 도착하지만 사내는 기차를 탈 수 없었다. 날짜 지난 기차표는 무효... 전 재산을 팔아 마련한 그 비싼 기차표가 무효 ...

 

부부는 역전호텔 방 한 칸을 얻어 사내는 머슴살이를 하고 아내는 허드렛일을 하며 곰스크행 기차표를 사기 위해 차곡차곡 돈을 모은다. 아내는 마을 사람들과도 교류하면서 그곳에 나름대로 적응해가지만 사내는 일이 끝나면 철길에 눈을 줄 뿐 누구와도 만나지 않고 가방도 풀지 않는다.

 

세월이 흘러 돈이 모이자 사내는 드디어 곰스크행 기차표를 산다. 마침내 곰스크행 기차가 도착하고 사내는 아내를 재촉한다. 그러나 아내는 미적미적 ... 마음이 급해진 사내는 가방을 들고 먼저 기차역으로 향한다.

 

기차에 올라탄 사내는 초조하게 아내를 기다린다. 기차 출발시간이 되자 저 멀리서 아내가 거실에 놓여있던 안락의자를 들고 낑낑대며 온다. 사내는 의자를 기차에 싣고 가려는 아내와 한바탕 언쟁을 벌인다. 그러나 기차에 가구를 싣고 가려면 돈을 더 내야 하는데 그들에겐 남은 돈이 없다. 아내는 의자를 싣고 갈 수 없다면 가지 않겠다고 선언한다. 화가 난 사내는 혼자 기차에 올라타고 ... 아내는 사내에게 자신은 이곳에 남을테니 곰스크에 도착하면 편지를 꼭 보내달라고 말한다. ... 왜?

 

 

“... 아이를 가졌어요...”

 

사내는 결국 기차에서 내린다.

 

그 마을 학교 선생님이 늙고 병들어 더 이상 일을 할 수 없게 되자 사내는 그 자리를 이어받는다. 덕분에 적지만 규칙적인 수입이 들어오고 집도 한 칸 마련한다. 아이가 태어나고 ... 기쁨을 주체할 수 없는 아내에게 '곰스크'라는 말을 꺼내기조차 힘들다.  

 

사내에게 자리를 물려준 늙고 병든 선생은 슬픈 미소를 띠며 말한다.

 

“사람이 원한 것이 그의 운명이고, 운명은 곧 그 사람이 원한 것이랍니다. 당신은 곰스크로 가는 걸 포기했고 여기 이 작은 마을에 눌러앉아 부인과 아이와 정원이 딸린 조그만 집을 얻었어요. 그것이 당신이 원한 것이지요. 당신이 그것을 원하지 않았다면, 기차가 이곳에서 정차했던 바로 그때 당신은 내리지도 않았을 것이고 기차를 놓치지도 않았을 거에요. 그 모든 순간마다 당신은 당신의 운명을 선택한 것이지요. ... 그건 나쁜 삶이 아닙니다 ... 의미없는 삶이 아니에요 ... 당신은 아직 그걸 몰라요. 당신은 이것이 당신의 운명이라는 생각에 맞서 들고 일어나죠. 나도 오랫동안 그렇게 반항했어요. 하지만 이제 알지요. 내가 원한 삶을 살았다는 것을”

 

둘째 아이가 태어나고 ... 여전히 기차표를 사기 위해 돈을 저축하지만 곰스크로 가려는 사내의 계획은 자꾸만 뒤로 밀려난다. 곰스크행 기차가 떠나는 기적소리가 들릴 때면 그는 가슴 한 켠에 통증을 느낀다. 사내는 일과 시간이 끝나면 혼자 다락방에 들어가 누구하고도 말하지 않고 곰스크를 생각하며 시간을 보낸다. 

 

 

... <끝>

 

 

 

이상을 찾아 떠나는 사람들의 얘기는 언제 읽어도 마음이 끌린다.

물론 이상을 찾아 떠나지만 그것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들의 얘기다.

<곰스크 ...>는 <은하철도 999>와 더불어 ‘철도예술’의 쌍절봉이다. 나한테는.

 

소설 <파랑새>는 파랑새를 찾아 떠났다가 결국 못 찾고 돌아와보니 니미럴, 내 옆에 파랑새가 있었네. 하는 얘기다. 집 떠나면 개고생이니 가까운 데서 행복을 찾으라는 ... <곰스크 ...>는 파랑새를 찾아 떠났지만 가다가 중간에 퍼질러 앉게 되자 “오메, 파랑새,,,” “오메, 파랑새” 하며 울고 있는데 누군가 “네 옆에 파랑새가 있잖아!” 그러니까 ... 그런가? ... 주위를 두리번 두리번 ... 긴가민가 ... 그래도 내 귓가에는 어디선가 파랑새 우는 소리가 들려. ... 떠나야 할 거 같어 ... 근데 ...  

 

어릴적 외진 시골구석에서 나고 자란 내게 첫 번째 곰스크는 ‘도시’의 냄새였다. 소꿉놀이 동무 엄마가 ‘서울여자’였다. 어린 촌놈에게 서울여자의 말씨는 눈깔사탕보다 더 달달하고 카스테라 빵보다 보드라웠다. 잡초같은 억센 사투리만 듣다가 여린 삐비 솜털처럼 앙증맞고 리드미컬한 서울말씨는 선녀의 노래소리였다. 그 서울여자가 우리 집 샘에서 꼬막을 씻는데 ... 나도 좀 씻겨줬으면 하고 ... 시골 아줌마들의 호탕한 웃음소리와는 달리 이따금 보이는 달큰한 미소를 보면 혼이 나갔다 ... 그 트라우마 탓인지 지금도 서울여자만 만나면 다리가 풀린다.

 

가난한 집 동네 형들과 누나들은 초등학교만 마치면 도시로 나가 돈을 벌었다. 명절 때면 그들은 기지바지와 원피스를 입고 ‘도시’ 냄새를 달고 왔다. 알록달록한 포장지로 쌓인 선물박스들 ... 그들은 사투리와 서울 말씨를 짬뽕해서 허경환처럼 말했다. 가까이 하기엔 살짝 세련됐고 멀리 하기엔 은근히 촌스러운. 그들은 도시에서 보고 들은 신기한 얘기들을 전해주며 목에 힘을 주었다. 나중에야 그들이 할 수 있었던 도시의 일이라는 것이 신문배달이나 구두닦이, 손가락 잘리는 공장일이라는 걸 알게 됐지만 ... 형이나 누나들이 가고 나면 동무들끼리 한동안 서울 말씨를 흉내냈다. 서로 자기가 더 서울 말씨에 가깝다고 우기면서 ...

 

초등(국민)학교 때 꿈에 그리던 도시로 왔다. 첫 번째 기억은 길을 잃어버린 것.

집에서 학교까지 15분이 채 안 걸렸는데 당시에는 마치 미로 같았다. 다행히 나는 몇 시간 헤메다가 운좋게 집에 도착했지만 그날 작은 누이는 길을 잃고 밤늦게까지 돌아오지 않았다. 부모님은 실종신고하고 여기저기 찾으러 다니고 ... 다행히 어떤 아줌마가 길을 잃고 헤메는 작은 누이를 파출소에 데려다준 덕에 새벽녘에야 얼이 빠진 누이와 이산가족 상봉을 했다. 혼자 누이를 애타게 기다리며 방구석에 무릎 꿇고 앉아 생애 최초로 ‘기도’ 비슷한 걸 했던 것 같다.

 

 

“ ... 돌아오게만 해주씨요이 ... 인자 다시는 안 싸울랑께요이...”

 

... 내가 곰스크에 가지 못했다면 아마도 그것은 이 글처럼 삼천포로 자주 빠졌기 때문일 것이다.

 

15년 전 처음 <곰스크로 가는 기차>에 대한 대략적인 줄거리를 들었다. 그땐 평생 꿈꾸던 곰스크에 결국 가지 못하고 그리워하는 사내의 회한에 가슴이 저렸다. 당시에는 나도 사내처럼 곰스크를 꿈꾸고 있었으니까. 어느덧 15년이 지나 아이도 낳고 끝내 곰스크로 떠나지 못한 사내의 나이 또래가 되어 소설을 읽었다. 여전히 가슴이 저리지만 곰스크에 대한 생각은 조금 달라져 있었다.

 

15년 전의 나는 곰스크를 막연한 미래에서 찾았다. 그러나 지금 나는 곰스크를 과거에서 찾는다. 흔히 화양연화(花樣年華)라고 말하는 인생에서 가장 아름다운 한 때에서 ... 돌이켜보니 내 인생의 화양연화, 그 시절은 씨앗처럼 작고 소박했지만 그 안에 모든 드라마의 요소를 다 갖추고 있었다. 그때 느낀 가슴 벅찬 희열과 감동을 지금 혹은 미래 어느 땐가 다른 방식으로 변주해서 함께 만들어 갈 수 있다고 믿는다.

 

‘...그땐 몰랐지만 ...’ 유행가 가사처럼 그땐 내가 곰스크에 갔으면서도 그걸 깨닫지 못했다. 왜냐하면 내가 준비한 게 아니었기 때문이다. 누구 말처럼 다 차려진 밥상에 숟가락만 얹었을 뿐이니까.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힘들게 그 밥상을 차린 사람들 옆에서 운 좋게 밥을 얻어먹었을 뿐 ...

 

만날 사람은 만나게 되어있고 가야 할 곳은 가게 되어있다고 믿는다. 만약 못 만났거나 가지 못했다면 아직 준비가 덜 된 탓이거나 무엇인가를 손에 쥐고 놓지 못하거나 ...

 

오래전 나 역시 곰스크를 꿈꿨다. 물론 지금도 곰스크를 꿈꾸고 있다. 다만 어딘가로 떠나거나 무엇이 되어야 한다거나 그런 것은 아니다. 지금은, 내가 혹은 나와 함께 하는 사람들이 곰스크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삼십 년 후 ... 그때까지 살아있다면 ... 곰스크는 나에게 어떤 모습일까?

 

 



본 기사는 펌질을 금한다 (펌질은 아래 퍼나르기 소스만 허용되며 박스 클릭하면 전체선택된다)

글쓴이 :  망구                   날짜 : 2012-03-07 (수) 05:08 조회 : 10066 추천 : 27 비추천 : 0

 
 
망구 2012-03-08 (목) 22:30 추천 10 반대 0
어릴적 동네 뽕나무밭에서 주둥이가 시커매지도록 오디 따먹던 기억이 나네...
참 오랫만에 뽕밭에 온 기분  ... 이곳은 뽕스크 ... 뽕쓰 배리 마취!
 
 
[1/10]   아스라이 2012-03-07 (수) 05:20
 
 
[2/10]   뭉크 2012-03-07 (수) 13:50


 우리에게도 누구나 곰스크가 존재한다
가보려시도하거나 포기하거나 ,꿈만 꾸거나,
실제로 곰스크에 도착하는 사람도 있겠지
 
 
[3/10]   소똥할매 2012-03-07 (수) 13:56

운율을 맞촤야 겠어.
 
 
[4/10]   미나리 2012-03-07 (수) 14:26

곰스크 가는길에 삶은계란이라도 사드셈^^
 
 
[5/10]   수수꽃 2012-03-07 (수) 22:37
나도 곰스크를 가지고 싶어졌다.


 
 
[6/10]   밀혼 2012-03-07 (수) 23:08


나는 아내의 저 의자에 더 끌려~
 
 
[7/10]   khalki 2012-03-07 (수) 23:33

이 짧은 독후감에 인생의 답이 들어 있는 것 같다.
이 벅찬 감동이라니!
최고란 말밖엔..
 
 
[8/10]   망구 2012-03-08 (목) 22:30
베플로 선택된 게시물입니다.
어릴적 동네 뽕나무밭에서 주둥이가 시커매지도록 오디 따먹던 기억이 나네...
참 오랫만에 뽕밭에 온 기분  ... 이곳은 뽕스크 ... 뽕쓰 배리 마취!
추천 10 반대 0
 
 
[9/10]   고지야 2012-03-15 (목) 03:54
너무도 공감가는 글이고 아름다워서 할말을 잠시 잃었다.......... 후아

인생을 흔히 간이역에 비유하잖아... 영원히 머물것 같지 않은 그런 중간역
그런데 어떤 이유에서든 그 역에 이끌렸고 잠시나마 디뎌보고 싶어서 내리거든.
그런데 그게 인생이기도 하더라고.
짧고짧은 간이역 정차의 순간들이 인생의 행복한 찰나들이고 그리운 순간들이 되겠지.

“사람이 원한 것이 그의 운명이고, 운명은 곧 그 사람이 원한 것이랍니다.
[출처] 박봉팔닷컴 - http://www.parkbongpal.com/bbs/board.php?bo_table=B02&wr_id=14531

난 가끔 찌질한 인생을 바라보며... 머 이러냐! 내가 원한 건 이게 아니었어..해.
그런데 더 들여다보면... 이 글처럼 내가 아주 오래전에 이런 삶을 원했었다는 걸 알게 돼.
결국 내가 욕망한대로 그리 살고 있었던 거지.
더 채울 수 없어서 허전하고 너덜거린다해도.... 분명 어릴 적 꿈 그대로인 거야.
단지 현실과 간극이 컸다는 걸... 나이들어서야 알게 된거지.
그럼에도 난 여전히 곰스크를 포기하지 못하고 있는듯 해.

몽구야 뽕 안줄 수 없는 글이다...
 
 
[10/10]   망구 2012-03-15 (목) 20:39
고지야/ 그대의 곰스크를 위해 ... 건배!
   

총 게시물 379건, 최근 0 건
번호 사진 제목 글쓴이 점수 조회 날짜
379  노무현 대통령님의 글쓰기 지침 [22]  팔할이바람 30 102048 2014
01-15
378  송전탑, 전자기파, 인체 [18]  양푼 20 8141 2013
10-19
377  [심리학상식] 2. 도박중독 [26]  심플 20 6949 2013
09-27
376  HPLC가 궁금하냐? [16]  팔할이바람 22 7803 2013
08-27
375  [신 치료법] 백혈병의 완치 [17]  팔할이바람 26 12106 2013
07-24
374  정신병이 유전병일 가능성 [15]  팔할이바람 21 10561 2013
03-01
373  남녀의 차이: 약물 [10]  팔할이바람 26 13076 2013
02-13
372  노력하는 자는 뇌반응이 다르다 [14]  팔할이바람 27 15835 2013
01-10
371  예언자의 두 번째 책 - 의견 종료 [33]  미래지향 28 6979 2012
12-10
370  할매 밥상 뒤엎기-상형 오쟁이지다 [44]  박봉추 25 8902 2012
12-10
369 우리나라가 시작부터 꼬인 이유 [17]  청개구리 29 8700 2012
12-09
368 사람이 뭔가를 안다는 것 [7]  팔할이바람 20 6819 2012
12-01
367 안철수, 만들어진 신화 [1]  웹마스터 23 5389 2012
11-20
366 [필독!] 사이트 운영제도 전면 개편 공지 [34]  미래지향 31 10513 2012
10-11
365 선관위의 광고 제재 관련 소문의 진상 [1]  미래지향 25 6553 2012
10-11
364 [긴급공지] 박봉팔사이트 해킹 관련 보고 [8]  웹마스터 20 5670 2012
10-09
363 "황장수 소장" 방송매체 출연 일정 (10/9) [11]  웹마스터 39 8366 2012
10-09
362  [펌] 조지칼린 기독교 풍자 코메디 [5]  망구 20 8620 2012
07-16
361  밥솥식 세계사 시대구분 [11]  밥솥 20 8620 2012
07-11
360 화성사진+새 탐사로봇 큐리오시티 [21]  밥풀 20 10308 2012
07-10
359 여성성기와 세균감염 [23]  팔할이바람 26 15068 2012
06-26
358  발 디딜 땅을 잃은 철학, 하늘로 가다? [19]  숭늉 21 6742 2012
06-25
357 모기는 어떻게 비속에서도 사나? [22]  팔할이바람 23 8638 2012
06-20
356  내가 공부한 방법(1) [8]  김금산 20 6124 2012
05-11
355  문예방 첫 경험-자동차스케치 [47]  미나리 24 7893 2012
04-23
354 [통계] 천재가 태어나는 사회 [14]  팔할이바람 24 8309 2012
04-08
353 [문화] 100만년전에 불고기를? [11]  팔할이바람 21 6977 2012
04-05
352 인디언의 역사 (1999. 3. 15~16일 쓴 여행일기 중… [9]  워싱턴불나방 26 7204 2012
04-04
351  대구 - 조선의 모스크바 [12]  물곰 27 8510 2012
03-29
350  제대로 소개한다! <잊혀진 질문> [8]  난나 24 8046 2012
03-18
349  정인홍과 조식 [7]  밥솥 32 8482 2012
03-15
348 북한에 있는 도자기 몇점. [11]  곱슬이 27 8702 2012
03-14
347 [그때 그시절] 로보트 물고기 [21]  팔할이바람 25 8890 2012
03-13
346  [책소개] 가난의 시대/ 최인기 저. [9]  팔할이바람 20 9592 2012
03-13
345  [의학리뷰] 5,300년전의 사나이 [18]  팔할이바람 40 9507 2012
03-08
344  진화론 알기 [4]  현봉 28 6817 2012
03-07
343  <독후감> 곰스크로 가는 기차 [10]  망구 27 10067 2012
03-07
342  김유신이 룸싸롱 앞에서 애마 목을 친 사연 [6]  박봉추 33 9264 2012
03-05
341  중국 건축가 왕슈, 2012 프리츠커 상 수상 [14]  밀혼 23 11344 2012
03-05
340  [의학리뷰] 뇌경색: 간병이라는 족쇄 [32]  팔할이바람 38 10164 2012
03-03
339  [한글용례-021] 웬, 왠 [16]  통곡의벽 21 8932 2012
02-14
338 간단 태양계! [5]  대오각성 24 6774 2012
02-11
337  [한글용례-018] 안되, 안돼 [29]  통곡의벽 24 9403 2012
02-09
336 수면내시경할 때 쓰는 약 [18]  난나 41 8426 2012
02-07
335 8 체질론, 부록 [6]  난나 23 6985 2012
02-02
334 8 체질론, 마무리 [8]  난나 28 6429 2012
01-31
333 8 체질론, 2 [10]  난나 21 7127 2012
01-31
332 백합꽃 문장(fleur-de-lis) [20]  밀혼 22 10529 2012
01-30
331 8 체질의학 [14]  난나 26 7285 2012
01-30
330  [의학기사 리뷰] 연골복구 줄기세포치료제 [13]  팔할이바람 28 10532 2012
01-27
 1  2  3  4  5  6  7  8  맨끝
 
 (펌) 어제 표결이 신의한수였…
 회비 납부 계좌
 굥의 미션
 가신(家臣) 과 노무현
 날뽕의 추억
 당신은 엘리트주의자인가요? -…
 운영자님께 고합니다
 지난해, 친구 2명의 자살과 병…
 시스템
 극문 X82 의 특징
 노무현을 좋아하는 ...
 지도자의 결단
 지난 20년의 교훈 - 실패를 즐…
 글쓰기
 악성 댓글러들과 조중동 휘하 …
 아더편집장님 그동안 수고하셨…
 아더 편집장의 마지막 인사
 사이트를 망치려는 악성 댓글…
 미래지향님, 회원 글들이 훼손…
 후원내역 (18년~22년)
<사진영상>
도서관 ▼
세계사 ▼
한국사 ▼
미술 ▼
철학 ▼
문학 ▼
인문사회과학 ▼
자연응용과학 ▼
 
 
 
ⓒ 2013 디어뉴스 dearnewsnet@gmail.com ㅣ 개인정보취급방침 ㅣ 회원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