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
 
회원가입 비번찾기 인증메일재발송
     
 
출장안마,출장마사지,바나나출장안마이미지
총 게시물 22,261건, 최근 0 건
   
[후불제 민주주의] 복지
글쓴이 :  옛이야기                   날짜 : 2011-05-07 (토) 20:23 조회 : 3272
옛이야기 기자 (옛기자)
기자생활 : 0일째
뽕수치 : 0뽕 / 레벨 : 0렙
트위터 :
페이스북 :
다들 아는 애기인지나

되새김질 할만한 글같다 글쓰는 재주는 없으니 퍼오기라도 잘해야겠지

기업은 기술을 개발해야하고,정당은 정책을 개발해야 한다

좋은 정책들에 관한 글들이 많았으면 좋겠다 그리고

유대표가 언급한 파일 하나 달았다 사회지표를 활용한 국가 경쟁력 개념연구

사회지표를_활용한_국가경쟁력개념연구-yoo21.pdf

내용중 그런데 우리나라의 사회적 약자들은 자신과 같은 사람에게 더 많은 도전의 기회를 제공하는 정책을 가진 정당과 정치인을 별로 지지하지 않는다. 는 부분은 많은 연구가 되어야 할것 같다.
더불어 게임에 빠진 젊은이,연애인에 빠진 젊은이들을 어떻게 참여의 길로 인도할지도 연구되어야 할것 같다.이런 문제들 가지고 토론의 장이 벌어지면 참 좋을텐데..



[후불제 민주주의] 복지

 

자유가 국가의 경쟁력을 높이는 가장 중요한 요소라는 것은 길게 설명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인류 문명이 만인에게 더 많은 자유를 허용하는 쪽으로 진화해온 것은 더 많은 자유를 허용하는 국가들이 그렇지 않은 국가들을 압도했기 때문이다. 나폴레옹은, 비록 일시적이었다고 할지라도, 프랑스대혁명의 정신을 압살하기 위해 모든 유럽 국가 절대주의 군주들이 만든 '신성동맹'을 군사력으로 제압했다. 두 차례의 세계대전에서 미국과 영국 등 민주주의 국가들이 독일, 이탈리아, 일본 등의 전체주의 국가를 격파했다. 민주주의 경험이 전혀 없었떤 우리가 미국과 유럽 국가의 헌법을 모방한 민주주의 헌법을 채택한 것은 이러한 세계사의 대세가 있었기 때문이다.
나는 복지 제도 역시 국가의 다윈주의적 경쟁력을 높이는 데 꼭 필요한 요소라고 본다. 그런데 많은 경제학자와 정치인, 언론인들은 복지가 국가 경쟁력을 해친다고 주장하면서 복지 제도를 확충하려는 정부의 노력을 향해 비난을 퍼부었다. 인기영합주의에 빠진 '친북좌파'들이 부자의 돈을 빼앗아 가난한 사람에게 나누어줌으로써 국가 경쟁력을 훼손하고 국민경제를 파탄에 빠뜨린다고 주장했다. 심지어 경제성장을 위해서는 국민의 자유를 제한하고 복지를 축소해야 한다는 외침까지 들렸다. 이명박 정부가 출범한 뒤로 이런 시각은 정부의 정책 기조를 형성하기에 이르렀다.
복지와 국가 경쟁력의 관계에 대해서는 상이한 견해가 대립한다.
그러나 그 견해들이 현실을 바꾸지는 못한다. 1인당 국민소득과 과학기술 수준, 기업의 경쟁력 등 모든 면에서 우리를 앞선 나라들은 모두 우리보다 강력하고 풍부한 복지 제도를 가지고 있다. 선진국 클럽이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 회원국들은 1인당 국민소득이 우리의 두 배가 넘는다. 국가재정이 국민총생산에 차지하는 비중은 50%를 넘나든다. 국가재정에서 복지 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60% 수준이다. 우리는 국민총생산 대비 국가재정 비중이 30% 남짓이고, 국가재정에서 복지 지출이 차지하는 비중 역시, 지난 10여 년 동안 크게 늘어났지만, 여전히 30%에 불과하다. 각종 경제사회 지표에서 드러나는 OECD 주요 회원국 국민들의 삶과 우리나라 국민들의 삶을 비교해보면 이렇게 요약될 것이다.

한국 국민들은 가장 오래 일한다. 산업재해로 죽거나 다칠 확률이 제일 높다. 생산 활동을 할 수 있는 사람 중에 실제로 경제활동에 참가하는 비율이 제일 낮다. 일하는 사람 중에 비정규직인 사람의 비율은 제일 높다.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이 아주 낮고 일하는 여성은 대부분 비정규직이며 소득은 남자보다 훨씬 적다. 고용주와 노동자들이 서로를 믿지 않는다. 국가가 일을 하면서도 가난한 사람들의 소득 지원을 거의 하지 않으며, 병든 국민들을 치료하고 건강을 회복시키는 데 쓰는 돈도 제일 적다. 절대빈곤 인구와 상대적 빈곤 인구 비율이 높으며 소득 격차가 갈수록 확대되고 있다. 노인이나 중증장애인과 같이 노동능력이 없는 국민들을 위한 소득 지원도 매우 빈약하다. 그래서인지 스스로 행복하다고 느끼는 국민의 비율이 다른 어느 나라보다 낮다.

상세한 내용에 관심이 있는 독자들은 2006년 7월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가 발표한 [사회지표를 활용한 국가 경쟁력 개념연구]를 참조하시기 바란다. 이 자료는 국가기록원에서 운영하는 '제16대 대통령 웹 기록 서비스(pcpp.pa.go.kr)에서 무료로 내려받을 수 있다.

이런 나라가 과연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까? 나는 어렵다고 본다
.
복지 정책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선진국들이 좋은 복지 시스템을 가진 것이 경제적으로 성장해 여유가 생긴 덕분이라고 주장한다. 복지 확충에 원칙적으로 반대하지는 않지만, 우선 더 성장하고 난 다음에 복지를 확충하자는 것이다. 일리가 있는 이야기다.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어야 복지도 할 수 있다. 그런데 이것은 동전의 한 면일 뿐이다. 그들은 좋은 복지 제도가 경제성장을 가능하게 하고 국가 경쟁력을 높이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동전의 뒷면을 애써 외면한다. 경제적 번영 또는 국가 경쟁력과 복지, 이 둘 사이에 서로를 누적적으로 강화하는 '양의 되먹임(positive fesdback)' 현상이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으려는 것이다.
국가 경쟁력은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능력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국가 경쟁력은 국민 개개인이 각자가 지닌 잠재적 능력을 삶의 모든 영역에서 최대한 발휘하면서 행복을 느끼고, 모든 국민들이 공동체의 생존과 번영을 위해 공감을 이루고 협동함으로써 공동체의 환경 적응력과 생존 가능성을 높이는 국가의 총체적 능력을 의미한다. 찬란한 과학기술과 철학을 꽃피웠던 고대 그리스 국가와 로마제국이 왜 몰락힜을까? 여러 원인이 있겠지만 핵심은 노예제도였을 것이다. 다른 인간의 소유물이 된 노예들은 자기가 타고난 재능을 발견할 수도 발휘할 수도 없었다. 여성도 일반적으로 노예나 다름없는 처지에 있었다.
노예제도는 노예뿐만 아니라 노예 소유자들의 경쟁력도 저하시켰다. 태어날 때부터 노예제도의 혜택을 누리는 사람이 자기의 재능을 발견하고 그 재능으로 무엇인가 창의적인 일을 하기 위해 노력할 확률은 그 제도가 없는 경우에 비해 현저히 낮기 때문이다. 인구의 대다수에 대해 재능을 발견하고 꽃피울 기회를 원천적으로 박탈하거나 그 동기를 약화시키는 국가는 특별히 뛰어난 생존 능력을 지속적으로 확보하기 어렵다.
신분제도를 토대로 성립했던 유럽과 아시아의 중세 봉건국가들 역시 다르지 않다. 자유와 평등을 기준으로 볼 때 노예제 국가보다는 나았지만 천한 신분에 속한 압도적 다수에게 재능을 발견하고 꽃피울 수 있는 기회를 주지 않았다. 직업 선택의 자유도, 교육받을 권리도, 거주이전의 자유도 허용하지 않았다. 여성들은 중세기에도 고대와 마찬가지로 거의 전적인 무권리 상태에 놓여 있었다. 히틀러의 독일제국과 군국주의 일본, 소련과 동유럽의 사회주의 국가들은 국민에게 자유를 허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파탄을 맞았다. 자유가 없는 곳에서는 기회의 평등도 실현할 수 없다. 이런 시각에서 보면 여성에게 인권을 허용하지 않고 수천 년 묵은 종교적 도그마에 복종하도록 아이들을 양육하는 이슬람의 신정국가들은 결코 밝은 미래를 기대할 수 없을 것이다. 또 자유를 폭넓게 허용하는 민주주의 국가라 할지라도 가난한 아이들에게 충분한 기회를 제공하지 않는 불평등한 사회라면 장기적으로 국가 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렵다.
지금 대한민국이 마주 선 주요한 경쟁 상대는 거의 모두 자유를 기본 질서로 하는 민주주의 국가이며 압도적으로 우월한 복지 제도를 보유한 나라들이다. 이런 나라들과의 경쟁에서 결정적으로 중요한 것은 사람이다. 자기 나라에서 태어나는 모든 아이들, 거기서 사는 모든 어른들에게 각자의 재능을 발견하고 발전시키고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나라는 성공하고 그렇지 못한 나라들은 뒤처지게 되어 있다.
능력 있는 부모를 만난 아이들은 문제가 적다. 그러나 가난한 부모를 만난 아이들은 충분한 기회를 얻지 못한다.
인구의 절반인 여성들이 재능을 발휘할 기회를 충분히 가지도록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경쟁에서 한번 실패한 어른들이 자기의 지적 자본 또는 인적 자본을 폐기하지 않고 다시 일어설 수 있도록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는 것 역시 빠뜨릴 수 없는 일이다. 복지 정책은 이런 것을 하기 위한 수단이다. 좋은 복지 정책은 경제적 번영을 추동한다. 경제적 번영은 더 좋은 복지 정책으로 가는 길을 연다. 이것이 둘 사이에 작동하는 '양의 되먹임' 현상이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사회적 약자들은 자신과 같은 사람에게 더 많은 도전의 기회를 제공하는 정책을 가진 정당과 정치인을 별로 지지하지 않는다. 그들은 모든 국민에게 더 많은 기회를 골고루 제공하려는 복지 정책에 '좌익포퓰리즘'이라는 딱지를 붙여 공공연하게 비난하는 신문들을 읽는다. 그 신문들과 돆깥은 주장을 하는 보수 정당을 더 많이 지지한다. 부자를 더 부유하게 하기 위해 부자들이 내는 세금을 없애고 깎아주면서 가난한 아이들을 위한 재정지출은 삭감하는 정당에 표를 던진다. 아이들 과외비에 허리가 휜다고 하소연하면서도 사교육을 부추기는 교육 정책을 들고 나온 후보를 지지한다.
국가 경쟁력은 국민의 정치적 개명(開明)을 요구한다. 정치적 개명이란 주권자인 시민들이 자기의 이익과 공동체의 선에 대한 나름의 합리적 판단을 근거로 삼아 발언하고 선택하는 것을 의미한다. 국민이 정치적으로 개명하지 않으면 경제적 번영과 복지 사이의 긍정적 되먹임을 일으킬 동력이 사라진다. '큰 시장 작은 정부'라는 이데올로기에 눈이 멀어 복지 정책에 거의 무조건적으로 반대하는 보수 정당과 보수 언론은 지금 이 시각에도 대한민국의 국가 경쟁력을 해치고 있는 것이다.

ㅡㅡㅡ유시민 ㅡㅡ


<scRIPT type=text/javascript> </scRIPT>

[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1-05-07 21:06:34 자유게시판에서 복사 됨]


본 기사는 펌질을 금한다 (펌질은 아래 퍼나르기 소스만 허용되며 박스 클릭하면 전체선택된다)

글쓴이 :  옛이야기                   날짜 : 2011-05-07 (토) 20:23 조회 : 3272

   

총 게시물 22,261건, 최근 0 건
번호 사진 제목 글쓴이 점수 조회 날짜
정치 게시판 안내  미래지향 3 149903 2013
09-17
사이트 안내 [34]  미래지향 35 414816 2012
10-11
3761 고백할께....내가 노빠 할 생각은 전혀 없었어...… [5]  아주밝은별 21 5390 2011
05-08
3760 [진보] 진보진영 연석회의 합의문(1,2,3차) [2]  호호 2 4771 2011
05-07
3759 [인물] 딴당 원내대표, 선거 반란?  호호 0 3452 2011
05-07
3758 조카 솜이에게! (한국이라는 나라는 살만한 가치… [6]  내가꿈꾸는세상 32 7101 2011
05-07
3757 철없는 어버이, 철없는 아내에게 ...철든 자식의 … [5]  지여 40 7825 2011
05-07
3756 [후불제 민주주의] 복지  옛이야기 21 3273 2011
05-07
3755 비전 2030  옛이야기 17 3270 2011
05-07
3754 경향신문 이대근 논설위원은 민주당에 입당하기 … [17]  과천아줌마 83 9523 2011
05-07
3753 또 하나의 위대한 탄생을 기원하며 [14]  만각 64 8194 2011
05-07
3752 난 뭐든 결사반대는 안 할란다. [9]  똘똘이아빠 43 8020 2011
05-07
3751 봉팔러들만 봐라..!! [47]  공상두 53 6771 2011
05-07
3750 [만평] 민주당 큰형님역할 [13]  졸라늬우스 55 5850 2011
05-07
3749 [봉하사진관] "강남좌파주지" 명진스님, 노짱 묘… [28]  블레이드 139 7415 2011
05-07
3748 유시민 테마주는 뭐가 될까??? [17]  간다 24 6648 2011
05-07
3747 (2005년 한겨레인터뷰) 우리가 뽑은 대통령 끝까… [3]  금호강 26 5667 2011
05-07
3746 송지선 아나운서 트위터로 자살 암시 해프닝 - 난… [13]  노근 102 7221 2011
05-07
3745 리자님의 댓글출현 자축 한턱 - 노짱테마사진(만… [11]  블레이드 57 6441 2011
05-07
3744 ●● 만평 종합 2011. 05. 07 토요일..야합!!! [3]  순수 16 4006 2011
05-07
3743 [펌] 참여당이 나아갈 길 [4]  시종여일 18 4439 2011
05-07
3742 [펌] 개곰 - 영국 유권자를 바꾼 건 두 가지였다 [9]  블레이드 65 7653 2011
05-07
3741 유시민 대표는 뭔 고생이냐 [8]  진이 57 5179 2011
05-07
3740 봉팔러들 책이 고프다!!!!!!!!!!!!! [3]  설거지 30 4829 2011
05-07
3739 20대가 투표안하는 이유는 애취급해서 [4]  파란호수 14 4872 2011
05-07
3738 20대, 어떻게 투표를 하게 할 것인가 [11]  기신 22 4665 2011
05-07
3737 세계 자산거품 파열? 국제유가 8% 폭락 [14]  밥솥 21 5262 2011
05-07
3736 유시민은 왜 줄을 탔는가 (펌) [1]  인지 12 6524 2011
05-07
3735 중앙당 현황 [9]  한량 65 6921 2011
05-07
3734 한나라당과 조선일보가 손학규 당선을 도운 흔적 [7]  진이 45 7275 2011
05-07
3733 니네들 똑띠해라. [4]  신해행증 23 6465 2011
05-07
3732 투표에 있어서 기권은 역사에 대한 죄악 [2]  기린 7 4624 2011
05-07
3731 패배보다 두려운 것은 좌절이다. [3]  양이아빠 16 4224 2011
05-07
3730 민주당과 통합하지 말아야 할 이유 [7]  진이 22 4628 2011
05-07
3729 김대호 : 유시민의 마음을 오독하고 있는… [11]  주트 47 5962 2011
05-06
3728 '황우여놀이'가 잘 될까 ? [9]  사과나무 24 4186 2011
05-06
3727 아아 유시민!! [1]  자바라말야 19 4502 2011
05-06
3726 당 비서실장의 글을 통… [16]  주트 69 6067 2011
05-06
3725 [사사세] 노무현 대통령 추모앱 ‘사람사는 세상… [9]  블레이드 29 8371 2011
05-06
3724 도쿄대 교수 “한국어가 일본어 뿌리” 英학회보… [4]  주권민 22 5528 2011
05-06
3723 참여당이 나아갈 길 [9]  두레박 49 4854 2011
05-06
3722 국민연금공단 이사장 (전 금융감독위원장) 고소당… [4]  사랑노 21 6919 2011
05-06
3721 통합반대 시리즈 1 - 나는 당의 주인이고 싶지, … [17]  하이에나 70 5986 2011
05-06
3720 봉팔러들과 함께 고민해 봤으면 하는 김대호 소장… [11]  재능세공사 21 5975 2011
05-06
3719 하고 싶은 일에서 평생직업까지의 여정 [2]  재능세공사 17 6121 2011
05-06
3718 안그래 ? 이대근 [6]  옥수산장 34 9488 2011
05-06
3717 민주당이 국민참여당과 통합하려면 [5]  빼앗긴들의봄 46 4832 2011
05-06
3716 시리우스리 보시게 [21]  냉면 83 4765 2011
05-06
3715 아파트와 교육...두가지만 생각하자... [5]  간다 19 4841 2011
05-06
3714 갑갑하고 답답하고 그렇네... [15]  노스텔져 58 5843 2011
05-06
3713 국민참여당 5만번째 당원 유시민대표와 식사기회 … [5]  하이에나 43 5577 2011
05-06
3712 제일저축은행 문제의 해법 : 정직이 최선의 정책 [11]  12억의기적 48 6131 2011
05-06
처음  이전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  379  380  다음  맨끝
 (펌) 어제 표결이 신의한수였…
 회비 납부 계좌
 굥의 미션
 가신(家臣) 과 노무현
 날뽕의 추억
 당신은 엘리트주의자인가요? -…
 운영자님께 고합니다
 지난해, 친구 2명의 자살과 병…
 시스템
 극문 X82 의 특징
 노무현을 좋아하는 ...
 지도자의 결단
 지난 20년의 교훈 - 실패를 즐…
 글쓰기
 악성 댓글러들과 조중동 휘하 …
 아더편집장님 그동안 수고하셨…
 아더 편집장의 마지막 인사
 사이트를 망치려는 악성 댓글…
 미래지향님, 회원 글들이 훼손…
 후원내역 (18년~22년)
<사진영상>
<디어뉴스 만평>
논설 ▼
언론 ▼
정치 ▼
정치인 ▼
통일국제군사 ▼
경제환경 ▼
교육종교 ▼
의료복지 ▼
인권여성노동 ▼
 
 
 
ⓒ 2013 디어뉴스 dearnewsnet@gmail.com ㅣ 개인정보취급방침 ㅣ 회원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