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
 
회원가입 비번찾기 인증메일재발송
     
 
출장안마,출장마사지,바나나출장안마이미지
총 게시물 159건, 최근 0 건
   
[철학] 가난함과 부유함 (공자와 제자의 대화 한 토막)
글쓴이 : 칠문                   날짜 : 2011-05-17 (화) 16:40 조회 : 5054 추천 : 34 비추천 : 0
칠문 기자 (칠기자)
기자생활 : 5,167일째
뽕수치 : 6,109뽕 / 레벨 : 0렙
트위터 :
페이스북 :


(이전에 긁적이던 건데 봉팔러들이 어찌 볼까 기대가 돼. 주소를 문예방으로 해서 올리는 것 맞나 몰라.)

가난함과 부유함

공자와 그 제자의 대화, 『논어』한 토막을 들여다본다.

“가난한 때 남들에게 아첨하지 않고, 부유한 때 남들에게 교만하지 않다면 (이런 사람은) 어떻습니까?”(貧而無諂, 富而無驕, 何如?)

“괜찮은 사람이다. 하지만 가난한 때 낙樂을 잃지 않고, 부유한 때 예禮를 좋아하는 사람이 더 윗길이지.” (可也. 未若貧而樂, 富而好禮者也.) (『논어』 제1편 「學而」)

이런 식이다. 공자와 그 제자들 간의 문답의 기록, 『논어』라는 책은 이와 같은 대화가 가득하다.

앞의 질문은 공자 평생의 충실한 제자요, 수제자 안회(顔回) 다음으로 명민한 두뇌의 소유자 ‘자공(子貢)’이 던진 것. 그는 정치적 감각이 탁월할 뿐 아니라 상업적 이재에도 밝아 당시 제후국들 사이에 물류거래를 통해 큰 재산을 축적했고, 공자 학단의 실질적 재정지원을 책임졌던 이다. 그가 자신의 어린 시절과 현재를 회상하며 최소한의 기준선을 넘지 않은 자기 삶의 원칙에 대한 자부감을 스승 앞에 은근히 드러내 보인다.

돌아보자. 세상에는 이와 같이 산 사람도 드물다. 내가 돈이 없어 보면 주변에 당당하기 어렵다. 상대가 공평하려고 해도 내가 먼저 위축되기 쉽다. 반대로 돈 많은 사람이라면 상대가 먼저 경쟁적으로 굽히고 들어오는 것 억지로 내치기도 어려운 일이다. 이게 보통 삶이고 세상 돌아가는 형세 아니던가? 그렇지만 자공은 최소한 이런 시류에 휩쓸려 살지는 않았다.

“없을 때도 내 기준이 있었고, 있을 때도 내 원칙이 있었다. 그것은 나에 대한 기본적 자존(無諂)과 남에 대한 최소한 배려(無驕)였다.”

자공의 자기 인생에 대한 오롯한 자평이다.

여기에 공자는 일단 긍정의 평을 내린다(可也). 그 또한 자공 같은 인생이 쉽지 않음을 안다. 그 정도 지키려 해도 얼마나 괴롭고 어려운지, 험난한 인생역정을 겪어온 그는 안다. 그러나 공자는 애제자의 삶의 목표를 거기에 두고 마는 것을 허용치 않는다.

“가난 속에서는 낙樂을 잃지 않고 부자로서는 예禮를 좋아하는 사람, 그런 사람이 되어야 진짜지.” 공자의 주마가편(走馬加鞭)이다.

공문(孔門) 교육이 빛을 발하는 지점! 인간이 각자가 처한 상황과 조건 아래서 자신의 최고의 가능성을 구현해 내고 있는가에 대한 삼엄한 성찰이다. ‘어느 정도 남들만큼 해내고 있다’라든가, ‘누구라도 이 상황에서는 이 정도 하기도 쉽지 않을 것이다’라는 평가로 만족하기를 철저히 거부한다.

낙자(樂者)는 누구인가? 생명 그 자체가 주는 즐거움을 아낌없이 향유하려는 사람, 전체로서 자연의 내밀한 움직임에 민감한 안테나로 동조하는 능력을 가진 사람, 어떤 상황에서도 남의 시선에 구애가 없이 자기스타일이 분명한 사람, 그것으로 일관하는 사람. 자기 일에 심취하여 일가(一家)를 이룬 사람, 진짜를 알아보는 눈과 귀를 가진 사람. 그들은 가난 속에서 낙樂을 잃지 않는다.

호례자(好禮者)는 누구인가? 예를 좋아하면 들끓는 사람들 속에서 평정을 잃지 않는다. 자연스럽게 각각의 사람에게 합당한 예가 무엇인지 안다(무례한 자는 고귀함과 천박함에 차이를 두지 않는다). 다양한 사람들의 삶의 양식에 애착을 갖고 깊이 공감하는 자세를 가진다. 따라서 오직 최상의 낙자에게 최고의 예가 어울림을 안다. 낙자들이 대우받는 사회적 환경을 만드는 것이다. 호례자는 결국 문화의 패트론이다.

그런데 알고 보면 이 둘은 서로 같은 사람, 시작과 끝이 원처럼 만난다. 낙자가 부자가 되면 곧 호례자가 될 것이요, 호례자가 부를 잃게 되었다면 그는 낙자로 돌아갈 뿐.

자공은 빈부의 삶을 나누어 보았고 수세적인 자세로 자기를 지키기에 급급한 인상을 주었다. 공자는 내 안의 생명의 즐거움으로 삶 자체를 꿰뚫었고, 상향(上向)의 길을 툭 터준다. 공자식 교육이다.

돈 없을 때 낙을 잃지 않고 돈 있을 때 예를 좋아하는 것, 우리 인생의 한 목표가 됨 직하지 않은가? 돈이 있고 없음에 관계없이 행복의 과녁으로 직진하는 화살 같은 삶, 아름답지 않은가? 공자가 권하는, 사람의 삶이다.





[이 게시물은 관리자에 의해 2012-03-27 15:30:24 문예·과학에서 복사 됨]



[이 게시물은 관리자에 의해 2012-04-29 03:50:25 월간박봉팔닷컴에서 복사 됨]


본 기사는 펌질을 금한다 (펌질은 아래 퍼나르기 소스만 허용되며 박스 클릭하면 전체선택된다)

글쓴이 : 칠문                   날짜 : 2011-05-17 (화) 16:40 조회 : 5054 추천 : 34 비추천 : 0

 
 
[1/14]  이상형 2011-05-17 (화) 16:50
돈 엄썰때 예를 차리고.. 돈 잇을때 즐거운.. 나는.. ㅡㅡ;;
 
 
[2/14]  칠문 2011-05-17 (화) 18:45
이상형/ 허걱... 그게 더 와 닿넹... 
 
 
[3/14]  이상형 2011-05-17 (화) 18:55
칠문/ ㅋㅋ 내가 성인이 아닌 이유긋지 머.. 쩝.. 쩝쩝..
 
 
[4/14]  칠문 2011-05-17 (화) 18:59
이상형/ 낙이호례. 그리고 호학. 선비들의 이상이라고 봐. 근데...
        저거 보기보다 무지 어렵다는 거. 저거 맛보고 산다면 괜춘한 인생이라고 봄.
 
 
[5/14]  아스라이 2011-05-17 (화) 19:46
본 글도 좋고...
댓글에 많이 웃었음..감사^^
 
 
[6/14]  옥수산장 2011-05-17 (화) 19:52
좋은글이네.
석가의 비움,예수의 사랑.  공자의 낙이호례. 루소의 자연
시대와 사람은 다르나 궁극에서 만나는 진리.
 
 
[7/14]  졸라늬우스 2011-05-17 (화) 22:24
냉이아빠는 '낙'은 있되, '예'가 없다...  맞나? ㅋㅋ
 
 
[8/14]  사원진 2011-05-17 (화) 23:27
나는 낙자가 이상하게 끌리네. ㅋㅋㅋ 즐거운게 좋은거지 ^^
 
 
[9/14]  난나 2011-05-18 (수) 09:30
공자가 달리 성인이 아니구나...
 
 
[10/14]  무유 2011-05-18 (수) 09:33
낙진 줄 알았다.
 
 
[11/14]  벤자민 2011-05-18 (수) 21:42
내가 세번 읽었을 때는 무엇을 의미하겟나
 
 
[12/14]  명성 2011-05-19 (목) 18:06
없을 때도 내 기준이 있었고, 있을 때도 내 원칙이 있었다. 그것은 나에 대한 기본적 자존(無諂)과 남에 대한 최소한 배려(無驕)였다.”
[출처] 박봉팔닷컴 - http://www.parkbongpal.com/bbs/board.php?bo_table=B02&wr_id=6305

봉팔러도 다 개똥철학은 가지고 있겠지
내 개똥철학응 칼자루 철학이라는것이 있는데
담에 한번 짧게 쓸게
 
 
[13/14]  칠문 2011-05-20 (금) 01:22
난나/ 한계는 있겠지만, 결코 허투루 볼 사람은 아니라능거...
벤자민/ ㅎㅎ 무엇을 의미하는감?
명성/ 오.. 칼자루 철학,  칼있어 보이네. 기대 됨둥.
 
 
[14/14]  벤자민 2011-05-20 (금) 19:42
칠문 / 쿵하면 옆집 호박 떨어지는 소리지

그만큼 가치있는 글
   

총 게시물 159건, 최근 0 건
번호 사진 제목 글쓴이 점수 조회 날짜
159  [그림 특강] 드로잉부터 구성까지 [9] 소똥할매 12 7071 2013
05-29
158  [그림 특강] 왜 그리 형태를 미워하는 거지? [8] 소똥할매 12 5462 2013
05-29
157  [그림 특강] 대체 뭘 봐야 하는 거야? (2) [16] 소똥할매 15 5766 2013
05-28
156  [그림 특강] 대체 뭘 봐야 하는 거야? (1) [13] 소똥할매 18 5732 2013
05-27
155 만들어진 전통(에릭 홉스봄 外) [10] 뜨르 8 5568 2012
07-01
154  장 자크 루소 탄생 300주년 [13] 밀혼 10 6841 2012
06-29
153  [소말리아] 아얀 히르시 알리의 자서전, 이단자 [16] 밀혼 6 6625 2012
06-28
152 중딩 언플 [2] 치매백신 6 5928 2012
05-30
151 [문화] 100만년전에 불고기를? [9] 팔할이바람 15 6048 2012
04-05
150 [영어이야기3]강세가 영문법을 엉망으로 만들었다… [11] 백일호 13 7190 2012
04-05
149  [영어이야기2]영어는 불임이라 양자를 많이 들였… [22] 백일호 17 6753 2012
04-04
148 인디언의 역사 (1999. 3. 15~16일 쓴 여행일기 중… [9] 워싱턴불나방 24 5811 2012
04-04
147  미국 현대 미술관 2 [23] 피안 17 7414 2012
04-04
146 [영어이야기1]Fish는 Ghoti로 표기해도 된다? (버… [13] 백일호 16 5981 2012
04-03
145 랭보의 방랑 [5] 밀혼 13 7750 2012
03-26
144 미국에서 '뉴잉글랜드' 의미 [20] 피안 21 6427 2012
03-25
143 [론 알프스 여행] 장 자크 루소의 집 [19] 밀혼 18 7494 2012
03-25
142 [책소개] 노무현의 따뜻한 경제학 줌인민주 16 2834 2012
03-19
141 [그때 그시절] 로보트 물고기 [21] 팔할이바람 26 6980 2012
03-13
140 행성 (2) - 태양계의 생성 진화 사멸 [7] Michigander 17 8112 2012
03-13
139  간단 아시안의 미국 이민사 [22] 피안 33 7656 2012
03-11
138  진화론 알기 [4] 현봉 29 6306 2012
03-07
137  <독후감> 곰스크로 가는 기차 [10] 망구 28 7535 2012
03-07
136  김유신이 룸싸롱 앞에서 애마 목을 친 사연 [6] 박봉추 35 7603 2012
03-05
135  중국 건축가 왕슈, 2012 프리츠커 상 수상 밀혼 1 4300 2012
03-05
134 행성 (1) [4] Michigander 16 6146 2012
03-05
133 [친환경건축물] MIT공대 스타타 센터 [21] 피안 25 7117 2012
03-05
132  [의학리뷰] 뇌경색: 간병이라는 족쇄 [32] 팔할이바람 36 8174 2012
03-03
131  나이아가라를 찾아서 피안 1 2222 2012
03-03
130  지구 (5) [8] Michigander 13 6748 2012
03-02
129  자연사박물관(다이어몬드) [31] 피안 25 6772 2012
02-24
128 간단 태양계! [5] 대오각성 26 6705 2012
02-11
127 지구 (4) [2] Michigander 15 5246 2012
02-08
126 수면내시경할 때 쓰는 약 [18] 난나 42 7420 2012
02-07
125 [한글용례-016] 않은, 않는 [19] 통곡의벽 17 9967 2012
02-07
124 [한글용례-015] 부문, 부분 [13] 통곡의벽 14 5761 2012
02-06
123 한국,호주 현대미술 [2] 뭉크 11 6372 2012
02-05
122  [ 의학이야기 ] 타이레놀(Tylenol) [6] 팔할이바람 14 6453 2012
02-05
121 [한글용례-014] 사용하다, 이용하다 [12] 통곡의벽 20 6838 2012
02-03
120 [한글용례-013] 우리, 저희 [10] 통곡의벽 14 5733 2012
02-02
119  지구 (3) [2] Michigander 14 5095 2012
02-01
118 [한글용례-012] ~의 , ~에 [15] 통곡의벽 16 5593 2012
02-01
117 경성에서 나남까지는 십리길이다. [6] 박봉추 14 5673 2012
02-01
116 지구 (2) [1] Michigander 12 5256 2012
01-31
115 지구 (1) [2] Michigander 18 5341 2012
01-31
114 백합꽃 문장(fleur-de-lis) [20] 밀혼 23 7878 2012
01-30
113  [의학기사 리뷰] 연골복구 줄기세포치료제 [13] 팔할이바람 29 6135 2012
01-27
112  [의학속보] 줄기세포에 관한 오해와 진실 [29] 팔할이바람 36 6407 2012
01-25
111 [ 심리학 ] 인간의 욕망과 미신에 대하여 [9] 팔할이바람 27 6661 2012
01-22
110 [ 방사선 의학 ] 코닥(Kodak)사의 필름 [5] 팔할이바람 32 6968 2012
01-19
 1  2  3  4  맨끝
 
 (펌) 어제 표결이 신의한수였…
 회비 납부 계좌
 굥의 미션
 가신(家臣) 과 노무현
 날뽕의 추억
 당신은 엘리트주의자인가요? -…
 운영자님께 고합니다
 지난해, 친구 2명의 자살과 병…
 시스템
 극문 X82 의 특징
 노무현을 좋아하는 ...
 지도자의 결단
 지난 20년의 교훈 - 실패를 즐…
 글쓰기
 악성 댓글러들과 조중동 휘하 …
 아더편집장님 그동안 수고하셨…
 아더 편집장의 마지막 인사
 사이트를 망치려는 악성 댓글…
 미래지향님, 회원 글들이 훼손…
 후원내역 (18년~22년)
<사진영상>
도서관 ▼
세계사 ▼
한국사 ▼
미술 ▼
철학 ▼
문학 ▼
인문사회과학 ▼
자연응용과학 ▼
 
 
 
ⓒ 2013 디어뉴스 dearnewsnet@gmail.com ㅣ 개인정보취급방침 ㅣ 회원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