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드 축구팬이라면 국가대표팀 성적이 나쁠때 마다 지겹게 들어온 소리가 '문전처리미숙' 혹은 '골결정력부재' 일 것이다. 결국 성적이 나쁜 이유는 선수 개인의 자질 문제로 귀결이 된다. 물론 일정 부분 맞는 이야기다. 그러나 현대 축구에서는 해당 사항이 없다. 한국 축구에서는 2002년 이후 더 이상 이런 이야기가 나오면 안된다. 히딩크가 결과로 보여주었기 때문이다.
히딩크는 2년이라는 짧은 시간안에 동일한 선수자원을 가지고 이전 월드컵에서 단 1승도 거두지 못한 대한민국 국가대표팀을 이끌고 월드컵 4강 이라는 업적을 만들어 냈다. 2년 이라는 기간동안 선수들이 갑자기 골결정력이 향상된것도 아니고 문전처리가 숙달된것도 아니다. 히딩크가 한것은 경기중 볼 점유률을 높이는 축구로 골 넣을 기회를 높이는 전술을 시도했다. 그동안 한국축구의 '문전처리미숙'은 '문전처리전술 부재'이고 '골결정력부족'이 아니라 '골결정기회부족'이라고 말할 수 있다.
k리그를 보면 더욱 더 확실히 이러한 사실을 알 수 있다. 2007년 k리그 우승을 한 포항의 경기를 보면 최전방 공격수는 물론 전 선수가 고르게 득점을 하고 있다. 파리아스 감독이 포항팀을 이끄는 동안 그가 보여준 축구는 결코 한국 선수들이 골 결정력이 부족하지 않다는 것을 증명한다. 부임 첫 해 포항을 상대로 한 팀 중에 선취골을 넣고 잠그다가 낭패본 팀이 한둘이 아니었다. 그는 다양한 방법으로 1골 넣고 잠그는 기존 k리그의 수비축구를 박살냈다.
포항의 파리아스 감독도 히딩크처럼 그는 기본 볼 점유률을 높인 뒤 공격적인 전술로 많은 골 찬스를 만들어 냈다. 어떤 경기에서는 골대만 4번 맞추고도 승리 한적도 있다. 골대 맞추면 패배한다는 속설도 파리아스 축구에는 통하지 않는다.
이 처럼 국가대표팀이 부진할때 늘 나오는 '문전처리미숙'은 이제 더 이상 한국축구에서는 적용되지 않는다. '문전처리미숙' 혹은 '골결정력부족'은 무능한 감독을 빨아주는 찌라시 기자들이 흔히 쓰는 스킬일 뿐이다. 요 스킬에 현혹되지 말았으면 한다.
다시 말하지만 '문전처리미숙'은 없다. 다만 '문전처리전술부재' 가 있을 뿐이고 동시에 '골결정력부족'은 없다. 골결정 기회가 부족할 뿐이다.
유능한 감독은 다양한 공격전술로 어떤 상황에서도 골을 넣을 수 있는 기회를 많이 만들어서 팀을 승리로 이끈다.
# 짤방 사진은 티비 조선이 포항과 전북의 중계를 예고하면서 두 팀의 엠블램을 바꾸 놓았다. 포항 모터스대 전북 스틸러스의 경기라고 예고하면서 많은 축구팬들의 조롱거리가 됐다.
[이 게시물은 관리자에 의해 2012-06-03 15:56:03 연예·스포츠에서 복사 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