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처럼 그리스하면 파르테논, 아고라가 있는 언덕위 도시가 이미지로 떠오른다. 이집트하면 피라미드,신전의 이미지가 로마는 격자도시, 도로망으로 특징된다.
로마 도시를 특징하는 단어들을 나열하면 인구 백만의 도시들, 지중해 연안중심, 유럽 지배와 동서로마 도시화, 도로(데쿠마누스와 카르도), 광장, 정원, 상하수도(대수로), 건설기술(아치, 볼트, 돔과 콘크리트) 측량기술, 공회당, 주택(도무스, 인슐라), 극장, 목욕장, 시장, 의료시설, 격자도시와 식민지화, 벽돌 구조물, 낡은 도로 등..
로마제국의 도로망

로마 제국 전역에 걸쳐 건설한 도로는 간선도로만 8만km, 지선도로 까지 합하면 15만 km에 이른다. 도로망을 건설하기 위한 교량, 콘크리트 기술과 공법이 현재와 크게 다르지 않다.

출처, pop news(2007.11.27) 10만 km 로마제국 도로지도
‘포이팅거 지도’는 로마제국의 도로를 상세히 기록한 양피지 지도이다. 스페인에서 중국 그리고 영국에서 북부 아프리카까지 이르는 지역의 4천 여 마을과 산과 강을 잇는 도로 체계가 상세히 담겨 있다.
붉은 선이 주 도로이며 건물 이미지는 쉴 수 있는 호텔이나 스파를 나타낸다. 붉은 선에는 꺾기 표시가 되어 있는데 하루 동안 이동한 후 휴식을 취할 시설들의 위치를 가리킨다. 지도의 중심은 로마이다. 로마는 왕관을 쓰고 왕좌에 앉은 인물로 상징되며 그곳으로부터 많은 도로가 뻗어나와 있다.
도로 단면

라틴어‘Rudus’는 도자기이나 돌 파편, 자갈등 잔해로 구성되어 있는 20여cm 두께로 콘크리트층이다.
 자갈, 모래와 석회로 만들어진 콘크리트를 얇은 층에 부어놓고 롤러로 압축하며 다져만들었다.
출처 http://blog.naver.com/koviet2 꼬비에뚜 블로그 재인용
로마도로는 황제부터 노예까지 도로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었다. 도로를 계층별로 구분하지 않고 기능별로 구분해 사용하였다. 침략자들이 도로를 이용할지라도 도로 건설을 계속했다.
우리 농촌 길이 대부분 인도가 없이 차도로 구성되어 있는 것과 달리 로마도로는 차도 양옆으로 인도를 꼭 만들었다.
인도가 없는 길이 터널 뿐이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