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
 
회원가입 비번찾기 인증메일재발송
     
 
출장안마,출장마사지,바나나출장안마이미지
총 게시물 22,261건, 최근 0 건
   
[경제.환경] 금, 금리, 화폐,
글쓴이 :  밥솥                   날짜 : 2011-05-19 (목) 01:16 조회 : 6848
밥솥 기자 (밥기자)
기자생활 : 5,168일째
뽕수치 : 198,602뽕 / 레벨 : 19렙
트위터 :
페이스북 :


최근에 금에 관한 소식이다.


"조지 소로스가 팔았다" 금은값 3일째 추풍낙엽




재테크계의 신으로 추앙받는 2인이 모두 금에 고개를 돌리는 모습이다.
이에 대한 한 전문가인지 논객인지의 평.



길가던소시민 2011.05.04 19:41

'자산 인플레이션', '금리 상승', '원화 가치 상승' 시기인데, 아직도 달러가 몰락하니, 전쟁이 발생하니, 종교에 심취되어 휴거가 오느니, 인플레이션 헤지니 하면서 금, 은을 사모으는 우매한 사람들과 사라고 부추키는 사기꾼, 거짓 전문가들이 주변에 참 많은 듯 하다.

 

참고로, 금, 다이아몬드, 골동품과 같은 희귀 자산은 1) 자산 디플레이션, 2) 금리가 적정 수준 이하의 약세, 3) 통화가치가 적정 수준 이하의 약세 추세 일때 투자 자산으로서의 가치가 있으나, 지금은 자산, 금리, 통화가치가 반대 추세이므로 투자 자산으로서는 부적격하다고 할 수있다.



근데 작년 말에 이런 상황이 있었다.


미국 금리가 지난 10월 초 이후 10년물 금리 기준으로 80bp 이상 상승했다. 특히 지난 11월 초 2차 양적완화에 나선 이후상승세가 더욱 탄력을 받는 양상이다.


이에 대해서는 두 가지 상반된 해석이 엇갈리고 있다. 우선은 2차 양적완화 도입으로 인하여 향후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때문이라는 해석이다. 특히 미국 중간선거에서 첨예하게 대립했던 감세안이 공화당의 승리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으면서 소비가 살아나 경제성장률 회복이 예상된다는 점이 주된 근거로 거론되고 있다. 유럽 재정위기 우려감의 완화 역시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미국 국채에 대한 선호도를 완화시키는 요소이다.


반대로 최근의 주요국 금리 상승이 재정의 악화 가능성에 대한 우려감을 반영한 것이라는 입장에서는 선진국의 동반 금리상승을 주목하고 있다. 미국 뿐만 아니라 아직 경기회복의 기미가 보이지 않는 유럽 주요국의 국채 금리 역시 상승하고 있기때문이다.

주식시장은 미국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을 우선적으로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향후 미국의 2차 양적완화에 따른시중 유동성의 증가와 재정지출 확대에 따른 우려가 충돌하면서 미국 금리의 등락폭이 더 커질 가능성은 열어둘 필요가 있다.



경제학 지식이 살짝 있는 사람은 위에 글을 보고 즉각적으로 머리가 아파야 정상이다.
양적완화가 결국 돈풀기 인데  돈을 푸는데 금리가 올라?
책에서 배운거랑 다르넹? ... 이러게 의심이 생겨야 한다.

근데 금리가 오른다는 얘기가 잘 읽어보면 '채권금리'가 오른다는 말이다.
그럼 양적완화 쉽게 말해 돈풀기.. 이건 중앙은행의 금리를 내린다는 말이다.
이것부터 제대로 이해해야 함.
이게 원래는 같은 방향으로 움직여야 정상인데  두개의 금리가 따로 논다는 거다.

자.. 채권금리가 올라가면 당연히 시중금리가 올라간다. 
미국 정부는 금리상승을 막아야 할까? 아님 조장해야 할까?
걔네들은 죽을 힘을 다해서 금리가 오르는 것을 막아야 한다. 
걔네들 상황에서 금리가 오르면 그렇지 않아도 어려운 경제가 파탄나거덩.

그럼 금리(돈의 가치)를 낮추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죽을 힘을 다해 돈을 풀어야 한다.
돈이 흔해져야 돈의 가치가 낮아지잖아?

방법은 중앙은행 금리를 낮춰서 돈을 풀거나...
국채를 정부가 사들이면서 시중에 돈을 푸는 거다.

국채를 사들일 때 싸게 사들이겠나 비싸게 사들이겠나?
당장 국가재정면에서 손해를 보더라도 비싸게 사들일거다. 
비싸게 사들인 다는 것이 채권금리를 낮춘다는 의미거덩.
그래야 향후에 순조롭게 채권발행을 하거덩. 
왜냐면 고금리에 채권발행은 재정적으로 더 죽을 맛이거덩.
최근 뉴스에 보면 미국 재정은 이미 빵구났지? 
미국정부는 금리하락에 절박할 수 밖에 없는 거다.
 
암튼 미국 정부 입장에선 어떤 방식을 사용하던 돈을 풀고 금리를 낮추야 하는 거다. 
재정을 확보하든 갱제를 살리기 위해서든 ...

자.. 그런 상황이라면 달러가치가 떨어지겠나 올라가겠나?
당연히 떨어진다.
이런 상황은 미국의 제조업체들에게 수출 욕구를 자극하고, 거꾸로 미국에 수출하던 수출국들에게 압박으로 작용한다.
즉 미국과 수출국간의 갈등은 필연이다. 그 대표적인 예가 미-중간 환율 갈등이고...

암튼 이렇게 달러가치가 떨어지는 상황에서 사람들은 어떤 선택을 할까?
달러의 대안을 찾는다.
그것이 바로 '금'이다.
유로나 위안이 아니라 금이라는 것이 중요하다.

금은 상품인가 아님 화폐인가?

일전에 일본대지진이 터졌을 때 유가는 폭락했지만 금은 급등했다.
금이 일반적 상품이면 같이 무너져야 하는데 반대로 움직인다.

물론 금이 시중에서 경제활동에 사용되는 실제 화폐 역할을 할 수는 없다.
그러나 금은 상품이 아니라 엄연한 화폐이다. 금은 지폐와 경쟁관계이다.
중앙은행 금리와 채권금리가 반대로 가는 이유는 지폐보다 금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그렇게 봐야 그 현상이 설명이 된다.
중앙은 금리는 떨어지고, 금값은 오르고, 채권금리는 오르고...
사실은 금이 실제로는 화폐역할을 할 수 없다는 것이 오히려 문제를 그대로 나타내는 거다.
화폐를 버리고 화폐역할을 못하는 돌덩어리를 화폐로 삼는다는 것. 
달러를 대신해서 금으로 몰린다는 것은 '화폐경제' 자체의 위기를 반증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경제상황에서는 이런 현상이 나오지 않는다.
그런 일반적 경제상황의 테두리에서 보니까 위에 '소시민'이 인플레와 금값이 같이 가는 식으로 주장하는거다.
이게 금을 자산으로 보는 소치다.

단순한 인플레 정도에 금값이 뛰지 않는다.
그리고 미국이 지금 무슨 인플레냐?
돈을 풀어도 인플레가 안생기는 상황이다.
이건 이미 일본 거품붕괴 후에 나타난 상황이다.
즉 거품이 붕괴하면 기존 경제학 논리는 작동하지 않는다. 
이러면 경제정책도 제대로 먹히지 않는다.
한마디로 경제학이라는 것 자체가 무의미해 지는 거다.

일전에 내가 건방지게 경제의 최고수니, 고수니 이런 등급을 매겼었다.
재방송을 하자면...

최고수 : 경제 본질적 논리
고수 : 화폐 논리
하수: 주식, 부동산 논리

아게 왜냐면 하수가 자기 논리로 뭔가 앞뒤가 안맞는 것은 고수의 논리로 설명가능하고, 고수의 논리로 뭔가 앞뒤로 안맞는 것은 최고수의 논리를 알아야 설명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최고수의 논리가 아주 복잡하고 어려운 것이 아니다.
오히려 더 간단하다. 단지 통념상 받아들이기 어려운 것 뿐이다.

아주 쉽고 간단하다.

1. 경제의 근본 문제는 구매력 소진이다.
2. 구매력 소진은 빈익빈 부익부를 해소해야 재충전 된다.
3. 돈풀기가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 어떻게 푸냐가 문제다.

구구절절 몇번 반복 설명한 내용이다.

자... 이런 전제라면 금값은 무조건 계속 상승한다.
그런데 버핏이나 소로스의 이름값 때문에 잠깐 주줌할 수도 있다.
이걸 금본위제를 옹호하는 수준의 주장으로 오해하면 안된다.
화폐전쟁의 저자는 지식은 많고 글재주가 좋으나 개념을 잘못잡아 한심한 결론으로 귀결이다.

결국 구매력이 완전 소진되면 금의 가치는 똥이 된다.
경제적 삶에서 진짜 중요한 것은 금이라는 돌덩어리가 아니라 쌀,원유같은 원자재 아닌가?
구매력이 소진되더라도 인간은 먹고 살아야 하니까 쌀과 원유의 가치는 줄어들 지언정 사라지지는 않는다.
단지 '당분간' 금의 위세에 눌릴 뿐이지.
물론 그 '당분간'이 한두달은 아니다.
몇년은 잡아야 하지 않을까?
십년이상 가지는 않을 것 같다.
이런 걸 고등수학에 능한 천재가 계산해야 하는디...ㅋ

그럼 버핏이나 소로스가 금이 계속 올라갈 것을 모르고 위의 판단을 했을까?
아니라고 본다. 대중을 기만하는 듯.
이 양반들은 하수는 아니다. 적어도 고수고, 혹시나 최고수일 수도 있다.
근데 이 양반들은 금이 오르면 별로 이익볼 양반들은 아니다.
몇푼 벌려고 대중을 기만한다기 보다는 아마 속으로 금이 오르는 것이 두려울 것이다.

금의 가치폭등이 달러의 가치폭락임을 기본적으로 이해하자.
현실에서는 그것 때문에 파국과 폭력이 난무할 수도 있다.


야밤에 심심해서 써봤다. 내용은 믿거나 말거나 각자 알아서 판단하면 된다.









본 기사는 펌질을 금한다 (펌질은 아래 퍼나르기 소스만 허용되며 박스 클릭하면 전체선택된다)

글쓴이 :  밥솥                   날짜 : 2011-05-19 (목) 01:16 조회 : 6848

 
 
[1/12]   박봉팔 2011-05-19 (목) 01:21
다리미란 회원이 전에 달러로 금 사놨다고 자랑하던데 ㅋㅋ
 
 
[2/12]   풍랑 2011-05-19 (목) 01:25
복잡하다. 돈 버는 법만 알려다오. 케케~
 
 
[3/12]   아스라이 2011-05-19 (목) 01:28
회장...댓글이 너무 얄밉다..--;
 
 
[4/12]   밥솥 2011-05-19 (목) 01:36
특별히 돈버는 방법이 어딧냐? ^^
걍 하는 일이나 열심히 하고 살면 되지.
나는 돈이 사라지는 것 보다 일이 사라지는 것이 더 걱정이다.
그리고 금융/투자로 돈 잘버는 사람들의 미래가 그리 밝지 않다고 생각한다.
 
 
[5/12]   졸라늬우스 2011-05-19 (목) 10:11
 
 
[6/12]   곱슬이 2011-05-19 (목) 10:12
일이 사라지는것도 무섭고, 돈이 사라지는 것도 무섭다.  그래도 냉이아빠의 유머만 있으면 되.  요거이 핵심인듯.  다리미의 금들은 뭐하고 있을까나~
 
 
[7/12]   무유 2011-05-19 (목) 10:45
금 다리미라...
 
 
[8/12]   아자아자 2011-05-19 (목) 11:27
 
 
[9/12]   치매백신 2011-05-19 (목) 11:29
내 이해력 문젠가? 전에는 밥솥이 최근의 금값 하락을 자산디플레의 전조증상으로 해석했는데? 지금은 십 년 쪼금 못되는 상승레이스를 예상하는 거지? 머리에 쥐난다. 정리해도. 나 요즘 밥솥땜에 쑹훙빙 수준을 벗어나는 거 같아 스스로 대견한 중이거든
 
 
[10/12]   밥솥 2011-05-19 (목) 17:07
치매백신 /

내가 금값하락을 자산디플레 전조증상으로 해석했었나? 그럴리가 없는데...?
왜냐면 금값하락 = 자산디플레는 금을 자산으로 보는 소치거덩. 나는 그걸 반대하고...

혹시 금값하락이 아니라 금리하락 아니었나?
그렇다면 말이 됨.
물론 일반적인 경우 금리하락은 곧 통화팽창이고 디플레가 아니라 인플레로 감. 일반적인 경우...
지금은 일반적인 경우가 아니고 거품붕괴 후 경제의 작동이 일반경제상식을 벋어나는 경우임.
그래서 중앙은행 금리와 채권금리가 따로 놀고...

암튼 지금은 통화팽창보다 거품붕괴 후 구매력 추락이 더 빠르기 때문에 유가가 떨어지는 것임.
그래서 금리하락을 자산디플레로 볼 수 있음.

이런 상황에서 자산디플레가 되면 서민들 입장에서 물가가 하향안정되느냐... 그건 아님.
일단 구매력 소진은 밑에서 부터 시작되는 것이고...
게다가 자산디플레로 부자들이 크게 손해를 보기 때문에 그것을 피하기 위해 생산 판매를 줄일 수도 있음.
과거 대공황 때 곡물이 남아돌아도 그냥 바다에 버렸음.
굶는 사람들이 부지기수였지만 곡물메이저 입장은 팔면 손해를 본다고 판단해서...
 
그리고 인플레든 디플레든 그 자체가 중요한게 아니라 돈이 어떻게 풀리고 어떻게 거둬지느냐... 그게 중요.  ---> 요거 누차 강조하는 부분.
 
 
[11/12]   졸라늬우스 2011-05-19 (목) 18:16
하나대투증권 이영곤 연구원은 "비차익 매물의 상당 부분은 골드만삭스 창구에서 나왔다"고 전했다. 골드만삭스가 16일 한국 증시의 투자의견을 하향조정한 것과 연관된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12/12]   치매백신 2011-05-19 (목) 19:16
5월 7일 글(세계 자산거품 파열? 국제유가 8% 폭락)에 링크된 기사 헤드라인이 그런 내용을 담고 있었는데 밥솥 글 밑에 보니 기사제목에 대해선 장기적 추세라는 전제 하에 동의한 거더군. 단기적으론(십년 이하) 의미가 다른 거고. 쪼금 이해했어.
   

총 게시물 22,261건, 최근 0 건
번호 사진 제목 글쓴이 점수 조회 날짜
정치 게시판 안내  미래지향 3 149914 2013
09-17
사이트 안내 [34]  미래지향 35 414839 2012
10-11
4211 북경의 변화 [11]  andzm 26 6630 2011
05-20
4210 참여당 국회의원 후보 추천합니다. [11]  몽니 11 5911 2011
05-20
4209 ●● 만평 종합 2011. 05. 20 금요일..뻔뻔함!!! [4]  순수 23 4555 2011
05-20
4208 참여당이 교섭단체가 되려면 [2]  몽니 24 4642 2011
05-20
4207 참여당을 없애는 방법.. [11]  노란잠수함 84 6833 2011
05-20
4206 [질문] 리프킨의 '유러피언 드림'은 어… [13]  노근 14 4225 2011
05-20
4205 미션4 클리어 됐습니다. 10,000뽕 씩 지급합니다. [29]  관리자 96 7048 2011
05-20
4204 [졸라단신] 대한문분향소 테러범 서정갑 5억원 피… [6]  졸라늬우스 40 7828 2011
05-20
4203 [자게펌글] 프레임설정 상황인식 구도이해 by 멀… [1]  졸라늬우스 18 4961 2011
05-20
4202 국민들은 대통령 되지 않아야 될 사람을 안다. [3]  기린 22 6425 2011
05-20
4201 기 기자에 반론한다 : 유시민이 진보대통합의 이… [10]  주트 23 5867 2011
05-20
4200 노무현 정신 구현 인물로 유시민 1위 [19]  양이아빠 63 7580 2011
05-20
4199 고시원의 부녀 [28]  반전할까요 136 8701 2011
05-19
4198 [만평] 안전빵 [7]  졸라늬우스 28 5862 2011
05-19
4197 역설적 독자생존의 가능성(약한고리 - 진보신당의… [18]  기신 30 6025 2011
05-19
4196 황우석과 타블로 [24]  밥솥 1 7138 2011
05-19
4195 유시민님만 믿습니다...으응???? [6]  구쿠마츠 16 5350 2011
05-19
4194 참여당과 진보정당 통합 문제 이렇게 본다 [4]  바람도리 11 8599 2011
05-19
4193 플랜 C : 상상할 수 있는 최악의 파국적 시나리오 [7]  주트 18 8894 2011
05-19
4192 대표님 바보가 되는 길을 갑시다.(참여당 토론방… [12]  미니파더 36 4773 2011
05-19
4191 진보소통합이 좋기는 한데 민노당이 그래야 할 이… [11]  카모마일 28 4817 2011
05-19
4190 [졸라단신] 박용모 의원, 경제대통령에게 쓴 소리 [7]  졸라늬우스 24 6035 2011
05-19
4189 2012년 준비를 하려면... [8]  참사람 22 4332 2011
05-19
4188 옥 기자에 반론한다 : 정녕 유시민을 신뢰하기는 … [7]  주트 38 4878 2011
05-19
4187 미국이 디폴트(채무불이행) 선언 할 가능성이 높… [22]  하버마스 54 6119 2011
05-19
4186 [졸라단신] 이해찬 강연 (목요일 저녁 6시30분) [9]  졸라늬우스 25 6442 2011
05-19
4185 대선이 1년 반쯤 남았는데... 예상되는 일 들... [27]  12억의기적 89 7227 2011
05-19
4184 됐꼬 !! 머리좀 빌리자. [30]  정공없다 64 6859 2011
05-19
4183 [만평] 칸총재 사임 [14]  졸라늬우스 37 6089 2011
05-19
4182 높은분들 바쁘신데 귀찮게 하지 말자 [30]  와룡선생 123 8523 2011
05-19
4181 진보소통합, 연대는 되지만 합당은 안 된다. [18]  시민 26 4970 2011
05-19
4180 진보집권 플랜 연재 ⑩ [2]  양이아빠 0 4494 2011
05-19
4179 정치공학적으로 참여당을 보면 민노당은 저승 사… [17]  옥수산장 25 6346 2011
05-19
4178 진보집권 플랜 연재 ⑨ [1]  양이아빠 3 4868 2011
05-19
4177 진보통합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선다면 할수 있는 … [5]  구쿠마츠 9 4690 2011
05-19
4176 질문있다. 6월에첫주에 유시민 대표와 면담이 있… [15]  내가꿈꾸는세상 40 6092 2011
05-19
4175 서평(초안) ..슬픈한국의 저..[한국을 생각한다]-… [6]  하이에나 30 4785 2011
05-19
4174 더연 최정묵연구위원의 <국가란 무엇인가> … [2]  하우맘 32 5847 2011
05-19
4173 ●● 만평 종합 2011. 05. 19 목요일..응어리!!! [4]  순수 22 4213 2011
05-19
4172 "MB가 나를 버렸다." 이재오 사생결단 반격수 [9]  시티헌터 36 6022 2011
05-19
4171 손학규가 야4당 대표 초청에 불참 한 이유 [8]  드럼소리 85 6701 2011
05-19
4170 검, ‘MB대포폰 피해자’ 김종익 보복수사 파문 … [3]  가우리 31 4856 2011
05-19
4169 전기세 더 올린다. [2]  주권민 20 4672 2011
05-19
4168 한국생각몹의 공격이 시작됐습니다. [26]  관리자 57 6117 2011
05-19
4167 경제학적으로 보는 복지, 정의국가론 [6]  파란호수 12 4766 2011
05-19
4166 좌절하면 변절한다? - 이재,김문,토지,김반 [31]  운명 143 7560 2011
05-19
4165 진보소통합 시도시 - 기다리기와 다가가기 [7]  기신 17 4690 2011
05-19
4164 [재스민 혁명] - 5.18은 현재진행형 [26]  밥풀 48 8860 2011
05-19
4163 금, 금리, 화폐, [12]  밥솥 38 6849 2011
05-19
4162 끝까지 한번 즐겨 볼란다 [7]  단두대 42 4783 2011
05-18
처음  이전  361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  다음  맨끝
 (펌) 어제 표결이 신의한수였…
 회비 납부 계좌
 굥의 미션
 가신(家臣) 과 노무현
 날뽕의 추억
 당신은 엘리트주의자인가요? -…
 운영자님께 고합니다
 지난해, 친구 2명의 자살과 병…
 시스템
 극문 X82 의 특징
 노무현을 좋아하는 ...
 지도자의 결단
 지난 20년의 교훈 - 실패를 즐…
 글쓰기
 악성 댓글러들과 조중동 휘하 …
 아더편집장님 그동안 수고하셨…
 아더 편집장의 마지막 인사
 사이트를 망치려는 악성 댓글…
 미래지향님, 회원 글들이 훼손…
 후원내역 (18년~22년)
<사진영상>
<디어뉴스 만평>
논설 ▼
언론 ▼
정치 ▼
정치인 ▼
통일국제군사 ▼
경제환경 ▼
교육종교 ▼
의료복지 ▼
인권여성노동 ▼
 
 
 
ⓒ 2013 디어뉴스 dearnewsnet@gmail.com ㅣ 개인정보취급방침 ㅣ 회원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