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이 웬수여" 70세 하우스푸어의 눈물이자부담에 집도 안팔려 신용불량 전락 하우스푸어 120만명…빚 폭탄 터질라 "은행에서 마약을 준 꼴이지. 새 집 살 땐 막 퍼주더니 집값 떨어져서 힘드니까 아예 신용불량자로 만들어버렸어. 집이 웬수여…"
김 할머니는 지난 2009년 파주 운정신도시에 전용 85㎡형 새 아파트를 3억원에 분양받았다. 김 할머니는 세를 준 구멍가게에서 나오는 월세 50만원을 제외하곤 별다른 수입이 없어 주저했다. 하지만 아파트 분양업체는 계약금 5%(1500만원)만 내면 중도금 60%(1억8000만원)는 은행에서 3년간 집단대출해주니 걱정말라고 설득했다.
연 6%대 이자가 부담스럽긴 했지만 정 안 되면 입주 때 곧바로 팔아 전세로 옮기든지, 종전 주택을 처분해 대출 일부를 갚으면 큰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왜 은행 탓을 하시나요? ;;; 마약질은 할머니 스스로의 선택 아니셨나요?
국민 신한 우리 하나 농협 등 5개 주요 시중은행에서 연말까지 만기가 돌아오는 일시 상환 주택담보대출은 총 23조8000억원 규모다. 은행들이 이 중 10%가량을 회수한다고 가정하면 수만 가구가 연말까지 2조3000억원가량의 빚 상환 부담을 진다. 특히 집값 하락폭이 큰 수도권 외곽 아파트 거주자 중 상당수가 자금 압박을 받을 전망이다.
농협은행은 최근 주택담보대출 만기를 연장할 때 원금의 10% 정도를 상환받도록 각 지점에 지시했다. 주택가격 추가 하락을 염두에 둔 조치다.
빚진 사람들이 망하면 결국 빚쟁이 은행들도 망하는 기고.... 뭐 그렇게 한 시대가 마감되는 거이져 뭐.
거품쟁이들의 몰락이 한편으로 측은하기는 하나... 이들이 해피엔딩으로 끝나면 그건 거품에 발담구지 안았던 진짜 정직하게 살았던 사람들을 병신 만드는 것임. 그런 엔딩은 곤란.
거품질=도둑심뽀
|